학술논문
3D 사전 시각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특징 연구- 스토리보드 전용(專用) 소프트웨어 및 3D 하이엔드 소프트웨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3D Pre-visualization Softwar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storyboard-dedicated software and 3D high-end software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김세훈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7호, 159~1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Hollywood where a lot of computer graphics are used in film production, previsualization in the planning stage is generalized. It is usually called previz which is understood as a concept similar to animatics in pre-production stage, and it gradually broadens the scope of utilizable media in Korea.
Previz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minimize risks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duction of live-action movies by simultaneousl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s contained in shots and scenes. Because of such convenience and efficiency, softwares dedicated only to previz are currently commercialized. For the commercialized softwares dedicated to previz, easy accessability and realization of fast speed with light capacity can be an advantage, but they have disadvantages that comparably low quality character animation and particle animation cannot be seen correctly.
This study made an overall investigation o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software dedicated to previz, and also made an analysis on the pros and cons of each program tool focusing on camera movement, rendering and special effects to be identified on site in real-time among the various functions of storyboard-dedicated softwares and 3D high-end softwares. Through such analysis,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the essential information necessary to select and utilize software in the pre-visualization stage. Through this study, more active utilization of previz can be expected in visual content planning fiel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의 영화화에 수반되는 매체변용에서의 제 문제- <비상구가 없다>의 경우 -
- 서울시 개최 영화제의 평가와 진흥 정책 연구
- 그레마스 이론을 통한 TV 드라마 '태왕사신기' 서사분석
- '고담시'의 공간적 의미 및 공간 재현방식 연구- 크리스토퍼 놀란의 <배트맨> 3부작을 중심으로 -
- 예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텔레프레즌스의 활용
- '허우 샤오시엔' 영화 속에 나타난 이차 프레임 연구- 비정성시, 카페 뤼미에르, 쓰리 타임즈를 중심으로 -
- 안타고니스트적 프로타고니스트 캐릭터 구축과 효과에 관한 연구- <오아시스>와 <데드맨 워킹>의 캐릭터 분석을 중심으로 -
-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극형식의 영화에 관한 연구 - <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와 <도그빌>을 중심으로 -
- 3D 사전 시각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특징 연구- 스토리보드 전용(專用) 소프트웨어 및 3D 하이엔드 소프트웨어 분석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