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타고니스트적 프로타고니스트 캐릭터 구축과 효과에 관한 연구- <오아시스>와 <데드맨 워킹>의 캐릭터 분석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Antagonistic Protagonist: The Characters Evokes Viewers' Intricate Appreciation- Focused on Characters of
and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이현진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7호, 121~13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Within the Korean Movie Industry, the major companies’ vertical integration has changed the system of investment-distribution has altered into invest-producedistribution.
This shows the impact mainstream industries are able to control the development of ideas. These companies are also lessening their respect toward the creators’ creativity and focuses more on making products with a more mechanic and repetitive taste.
Andrew Horton purposes the mainstream vertical integration has caused bland and predictable script to be made. His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o focus the scenario on the carnivalesque characters.
This report shows the analysis of the two movies based on Andrew Horton’s carnivalesque characters. These two movies are Tim Robinson’s (1995) and Chang Dong Lee’s (2002). These script have impressive achievements within its criticism and from an entertainment standpoint. The analysis of these two movies will focus on one thing they have in common: the build up of the “antagonistic protagonist” and how they affect the story.
I define that an antagonistic protagonist is an antagonist toward a main character within the movie, but is a protagonist when you look at the character him/herself or has a promiscuous personality. Being one of the main characters of the story as a protagonist, while being in conflict against another main character as an antagonist, the combination of the two roles have been the foundation of the phrase, “Antagonistic Protagonist”.
In order to determine the level of perfection of a character within a script containing carnivalesque characters, the character’s traits must be explain with detail. This makes the character’s undeterminable, polyphonic, contradicting, destructive personality able to be in harmony with each other creating a balance between these various qualities.
This thesis has observed the creative theory and guidelines of works of art that provide variation and authenticity and how it affects the story as a whole. This is a suggestion to have multiple perspectives of the movie industry that is being fast paced by the increase of mainstream vertical integr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의 영화화에 수반되는 매체변용에서의 제 문제- <비상구가 없다>의 경우 -
- 서울시 개최 영화제의 평가와 진흥 정책 연구
- 그레마스 이론을 통한 TV 드라마 '태왕사신기' 서사분석
- '고담시'의 공간적 의미 및 공간 재현방식 연구- 크리스토퍼 놀란의 <배트맨> 3부작을 중심으로 -
- 예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텔레프레즌스의 활용
- '허우 샤오시엔' 영화 속에 나타난 이차 프레임 연구- 비정성시, 카페 뤼미에르, 쓰리 타임즈를 중심으로 -
- 안타고니스트적 프로타고니스트 캐릭터 구축과 효과에 관한 연구- <오아시스>와 <데드맨 워킹>의 캐릭터 분석을 중심으로 -
-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극형식의 영화에 관한 연구 - <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와 <도그빌>을 중심으로 -
- 3D 사전 시각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특징 연구- 스토리보드 전용(專用) 소프트웨어 및 3D 하이엔드 소프트웨어 분석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