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극형식의 영화에 관한 연구 - <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와 <도그빌>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Postmodernism and the Cinema of Theatrical Form - Centering on
and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김은주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7호, 139~15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ostmodernism is the spirit of the times we should observe. This is because it made a huge difference of lifestyle, architecture, music, and fine arts. The contingency, disorder, irony emerged as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and crumbling between genres, intertextuality and self-reflexivity became a part of postmodernism.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 which are seeking a novelty and aesthetic experiments through postmodern elements and theatrical forma of Bertolt Brecht such as alienation and exposing theatrical techniques. Two films have a lot in common which passes themes and narratives through theatrical form and creates postmodern images of the cinematic space.
The two works are all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revenge should be noted. In , the thief murders his wife's lover and thief's wife kills the thief for revenge of her lover. In , angelic Grace who has been persecuted by villager avenge them brutally.
The director of , Peter Greenaway recognizes his film is a 17th-century tragic revenge, as well as a partially political film. It can be regarded as a fetish or nostalgia about unbridled spending culture of Britain's Margaret Thatcher regime in 1980's. As the first film of Lars Von Trier's' American Trilogy, deals with American capitalism and the properties of the imperialism.
Through theatrical form these works expose fictional irony, make a mistake of watching film, and keep the distance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film. These works also show harmony that can not be in harmon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의 영화화에 수반되는 매체변용에서의 제 문제- <비상구가 없다>의 경우 -
- 서울시 개최 영화제의 평가와 진흥 정책 연구
- 그레마스 이론을 통한 TV 드라마 '태왕사신기' 서사분석
- '고담시'의 공간적 의미 및 공간 재현방식 연구- 크리스토퍼 놀란의 <배트맨> 3부작을 중심으로 -
- 예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텔레프레즌스의 활용
- '허우 샤오시엔' 영화 속에 나타난 이차 프레임 연구- 비정성시, 카페 뤼미에르, 쓰리 타임즈를 중심으로 -
- 안타고니스트적 프로타고니스트 캐릭터 구축과 효과에 관한 연구- <오아시스>와 <데드맨 워킹>의 캐릭터 분석을 중심으로 -
-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극형식의 영화에 관한 연구 - <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와 <도그빌>을 중심으로 -
- 3D 사전 시각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특징 연구- 스토리보드 전용(專用) 소프트웨어 및 3D 하이엔드 소프트웨어 분석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