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본안판결을 받을 이익
이용수 24
- 영문명
- Interest in a Judgment on the Merits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저자명
- 지은수
- 간행물 정보
- 『민사법학』제112호, 337~37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원고가 소를 제기하면 피고는 방어의 부담을 지고 본안에 관한 확정판결을 받아야만 해당 청구에 관한 분쟁의 종국적 해결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원고가 소를 임의로 취하하게 되면 본안판결을 받을 수 없게 되어 피고의 방어 비용과 노력이 허사가 된다. 이에 민사소송법은 원고의 소취하에 피고의 동의를 요구함으로써 피고의 ‘본안판결을 받을 이익’을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민사소송법은 청구의 변경에는 피고의 동의를 요구하지 않고 청구기초의 동일성만을 요구하고 있어 청구의 교환적 변경, 청구의 감축 등에 소취하에 관한 규정을 유추적용할 수 있을지가 문제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본안판결을 받을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소취하, 청구의 교환적 변경, 청구의 감축에 관한 논의를 검토한 뒤 ‘본안판결을 받을 이익’은 절대적으로 보장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보호가 담보된다면 소송경제 등과의 조화 속에서 후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영문 초록
When a plaintiff files a lawsuit, the defendant bears the burden of defense and can only achieve a final resolution of the dispute through a judgment on the merits. However, if the plaintiff is allowed to withdraw the action unilaterally, the defendant’s efforts and costs in defense are wasted, and no judgment on the merits can be obtained. To protect the defendant’s “interest in obtaining a judgment on the merits,” Korean civil procedure requires the defendant’s consent for withdrawal of the action. In contrast, amendments to the claim require only the identity of the cause of action, without the defendant’s consent, raising the question of whether provisions on withdrawal should apply by analogy to exchange amendments or reductions of claims. This article examines discussions on withdrawal of actions, exchange amendments, and claim redu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fendant’s interest in obtaining a judgment on the merits, and argues that such interest is not absolute but may retreat under certain conditions when sufficiently safeguarded in light of procedural economy.
목차
Ⅰ. 문제의 소재
Ⅱ. 소의 취하와 본안판결을 받을 이익
Ⅲ. 반소의 취하와 본안판결을 받을 이익
Ⅳ. 청구의 변경과 본안판결을 받을 이익
Ⅴ. 본안판결을 받을 이익의 제한
Ⅵ. 본안판결을 받을 이익에 관한 기타 문제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채권자대위권과 대위하는 권리[피대위권리] - 형성권에 관하여 -
- 재단법인의 공익성에 관한 소고
- 계속적 계약에서 무효, 취소의 소급효 제한 - 소급효 원칙의 관철, 손해배상책임의 한계 -
- 경제적 지위의 남용에 따른 반사회질서 행위
- 신축 건물소유권 귀속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 기간의 정함이 있는 주택임대차와 임차인의 중도해지권 - 일본 차지차가법(借地借家法) 제38조를 중심으로 -
- 코로나19와 상가임대차 - 대법원 2025. 5. 1. 선고 2024다293580 판결을 중심으로 -
- 권리금에 관한 관습
- 하도급거래에 있어 계약자유와 계약통제
- 본안판결을 받을 이익
- 민법에서 사적 자치의 의의 ― ‘거래의 안전’ 요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 개인적 접근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