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축 건물소유권 귀속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이용수 45
- 영문명
- The Ownership of a Newly Constructed Building de lege ferenda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저자명
- 정병호
- 간행물 정보
- 『민사법학』제112호, 175~19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신축 건물의 소유권 귀속 문제에 대한 학설과 판례의 한계를 지적하고 새로운 해결방안으로서 입법론을 제시한다. 신축 건물의 소유권귀속을 일차적으로 당사자의 의사에 의존시키는 종래의 학설 ․ 판례는 건물신축이라는 사건에 의한 물권변동에 적합한 대응이 아니다. 기존 해결방안의 가장 큰 불합리는 현행 해석론상 건물이 되기 직전 상태의 공작물은 토지에 부합된 상태로서 토지 소유권의 일부가 되지만, 이후 독립적인 부동산인 건물로 인정되는 순간 건축한 자 – 도급계약에 의한 건축의 경우에는 도급인 또는 수급인 - 의 소유가 된다는 데 있다. 이러한 불합리를 해소하기 위해 필자는 신축 건물의 소유권귀속이라는 문제에 한하여는, 건물이 되기 직전 상태의 공작물을 예외적으로 토지로부터 독립한 동산으로 취급하는 법 개정을 제안한다. 이렇게 하면 최후의 자재가 결합하여 법률상 건물이 생기는 순간 부합 내지 가공 법리를 적용할 수 있게 되고, 일반적으로 토지 소유자가 새로 생긴 건물의 소유권을 취득하게 될 것이다. 이 방안은 도급계약 등의 약정 유무와 관계없이 일관하여 토지와 건물의 소유를 일치시킬 수 있어 신축 건물의 소유권귀속에 관한 혼란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how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academic theories and judicial precedents regarding the attribution of ownership of newly constructed buildings and proposes legislative solutions as a new approach. The conventional academic theories and precedents that primarily rely on the parties' intentions for determining ownership of newly constructed buildings are inadequate responses to property rights changes resulting from building construction events.
The most significant irrationality of existing solutions lies in the fact that under current interpretative theory, structures in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becoming buildings are attached to land and become part of land ownership rights, but once recognized as independent real estate, they belong to the builder—in cases of construction by contract, either the contractor or the contractee. To resolve this imbalance, the author proposes a legal amendment that exceptionally regarding the attribution of ownership of newly constructed buildings treats structures in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becoming buildings as movable property independent from land.
This approach would enable the application of processing theory at the moment when the final materials combine to legally create a building, and generally, the landowner would acquire ownership of the newly created building. This solution is expected to consistently align land and building ownership regardless of construction contracts or other agreements, and is expected to prevent confusion regarding the attribution of ownership rights for newly constructed buildings.
목차
Ⅰ. 서론
Ⅱ. 통상의 신축 건물소유권 귀속
Ⅲ. 건축 중인 공작물이 제3자에 의해 완성된 경우 완성 건물의 소유권귀속 문제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채권자대위권과 대위하는 권리[피대위권리] - 형성권에 관하여 -
- 재단법인의 공익성에 관한 소고
- 계속적 계약에서 무효, 취소의 소급효 제한 - 소급효 원칙의 관철, 손해배상책임의 한계 -
- 경제적 지위의 남용에 따른 반사회질서 행위
- 신축 건물소유권 귀속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 기간의 정함이 있는 주택임대차와 임차인의 중도해지권 - 일본 차지차가법(借地借家法) 제38조를 중심으로 -
- 코로나19와 상가임대차 - 대법원 2025. 5. 1. 선고 2024다293580 판결을 중심으로 -
- 권리금에 관한 관습
- 하도급거래에 있어 계약자유와 계약통제
- 본안판결을 받을 이익
- 민법에서 사적 자치의 의의 ― ‘거래의 안전’ 요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 개인적 접근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