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to Improve Learning Strategi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저자명
- 조은애 김경열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제46권 제2호, 513~53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전략 활성화를 위해 교실에서의 활동 교육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전략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이론을 바탕으로 학습전략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계획을 제시하였다. 특히,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교재와 실제 대학 학기를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였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을 계획하고 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학습자가 학습전략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관련 활동을 제시하고,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수업 활동을 제시하였다. 특히 학습자 중심 수업에 초점을 맞추고, 학습전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시평가를 실시하는 교육 계획을 제시했다. 수시평가 영역은 한 학기(10주차)에 총 8회, 쓰기, 말하기, 듣기 영역으로 제시되었다. 수시평가를 목표로 학습자들이 연습할 전략은 다음과 같다. 어휘 및 문법 학습에서는 인지 전략, 기억 전략, 보상 전략, 정서 전략, 사회 전략이다. 말하기 수업에서는 기억 전략, 보상 전략, 정서 전략, 사회 전략, 쓰기는 상위인지 전략, 보상 전략, 정서 전략이다. 듣기 활동은 메타인지 전략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activity plan for classrooms to revitalize learning strategies. To this en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learning strategies were examined and an educational plan to improve learning strategies was proposed based on this theory. In particular, the class was planned by considering textbooks used in the Korean language field and the actual university semest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and prioritize to learner-centered clas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activities were presented so that learners could apply learning strategies, and class activities were presented to encourage learners' participation. The educational plan focused on learner-centered classes and implemented regular assessments to improve learning strategy skills. An occasional evaluation component was proposed eight times in a semester(week 10) for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The strategies that learners practice with the goal of occasional evaluation are as follows: In vocabulary and grammar learning, these strategies are cognitive, memory, reward, affective, and social. In speaking classes, memory, reward, affective, and social strategies were emphasized, while writing relied more on cognitive, reward, and affective strategies. Listening-related activities help improve metacognitive strategies.
This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activity plan for classrooms to revitalize learning strategies. To this en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learning strategies were examined and an educational plan to improve learning strategies was proposed based on this theory. In particular, the class was planned by considering textbooks used in the Korean language field and the actual university semest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and prioritize to learner-centered clas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activities were presented so that learners could apply learning strategies, and class activities were presented to encourage learners' participation. The educational plan focused on learner-centered classes and implemented regular assessments to improve learning strategy skills. An occasional evaluation component was proposed eight times in a semester(week 10) for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The strategies that learners practice with the goal of occasional evaluation are as follows: In vocabulary and grammar learning, these strategies are cognitive, memory, reward, affective, and social. In speaking classes, memory, reward, affective, and social strategies were emphasized, while writing relied more on cognitive, reward, and affective strategies. Listening-related activities help improve metacognitive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학습전략의 개념과 구성요소
Ⅲ.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재 김안국의 공부론과 교육실천에 관한 연구
-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교육을 위한 제언 - 영어 사용 학습자 대상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 학교폭력 관계개선 조정위원의 조정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태도 및 만족도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 교육공무원 공무상 재해보상 개선 방안 탐색 - 공무상 재해심사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 감정을 넘어 회복력으로: 재난 경험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전환
- 미국 교원단체의 교권보호체계 비교 연구 -미국교사연맹과 전미교육협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 역사 콘텐츠와 역사교육의 소통 - 웹툰 『조선왕조실톡』 댓글 내용분석을 통한 역사 지식 활용 양상 탐색 -
- 초등학교 현장의 교육활동(교권) 보호 실태에 관한 교사 인식 조사 연구
- 자율전공학부 입학 동기와 대학생활 적응 사례 연구
- 성장신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아개념 변화의 매개효과: 다층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 인공지능 민주주의와 실존적 주체성의 교육
- 과학교육전공 재학생들의 진로갈등 현상을 마주하는 전임교원들의 담화 - 히스테리담화 및 분석가담화를 중심으로 -
- Ties That Bind: How Cohesion Shapes Writing Quality in EFL Essays
- AI 및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인식 분석
- 서울 거주 중장년의 AI·디지털 역량 유형 탐색 및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a Studies Vol.3 No.8 Contents
- 习近平关于树立和践行政绩观的重要论述:理论渊源、丰富内涵和时代价值
- 习近平文化思想对中华优秀传统文化传承创新的内在逻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