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정을 넘어 회복력으로: 재난 경험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전환
이용수 0
- 영문명
- Beyond Emotion: Developing Resilien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Disaster Experienc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저자명
- 이유정 서나래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제46권 제2호, 335~35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사회의 재난은 국경을 초월하여 전 지구적 영향을 미치며, 미디어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재난의 초국가적 성격은 세계시민성에 기반한 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미디어를 통해 매개화된 재난 경험은 애도와 연민, 감정이입을 불러일으키지만 감정의 소비화와 연민 피로 등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회복력(resilience) 중심 세계시민교육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첫째, 재난 기억의 공유를 통한 지속적인 정서 형성 (애도의 전환) 둘째, 재난 문해력(disaster literacy) 함양을 통한 비판적 시민성 강화 (연민의 전환) 셋째, 학교-지역사회-글로벌 사회 수준의 다층적 참여를 통한 실천력 제고 (감정이입의 전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회복력 중심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재난 상황의 능동적 참여자이자 변화의 주체로 성장하며, 글로벌 연대와 세계시민의식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Disasters in contemporary society transcend national borders, have global impacts, and are disseminated worldwide in real time through the media. The transnational nature of disasters necessitates educational approaches grounded in global citizenship. Traditional emotion-center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limitations, as it remains confined to transient emotional responses and superficial engagement. While mediated disaster experiences evoke mourning, compassion, and empathy, they also present challenges such as emotional commodification and compassion fatigue. This study proposes a resilience-centered model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For resilience-based education, specific implementation strategies include: developing sustained emotions through sharing disaster memories, strengthening critical citizenship through disaster literacy enhancement, and improving practical capabilities through multi-level participation across school, community, and global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국제적 재난과 매개화된 감정
Ⅲ. 회복력(resilience) 중심 세계시민교육의 도입
Ⅳ. 회복력 중심 세계시민교육 모델: 재난 경험의 교육적 전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재 김안국의 공부론과 교육실천에 관한 연구
-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교육을 위한 제언 - 영어 사용 학습자 대상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 학교폭력 관계개선 조정위원의 조정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태도 및 만족도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 교육공무원 공무상 재해보상 개선 방안 탐색 - 공무상 재해심사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 감정을 넘어 회복력으로: 재난 경험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전환
- 미국 교원단체의 교권보호체계 비교 연구 -미국교사연맹과 전미교육협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 역사 콘텐츠와 역사교육의 소통 - 웹툰 『조선왕조실톡』 댓글 내용분석을 통한 역사 지식 활용 양상 탐색 -
- 초등학교 현장의 교육활동(교권) 보호 실태에 관한 교사 인식 조사 연구
- 자율전공학부 입학 동기와 대학생활 적응 사례 연구
- 성장신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아개념 변화의 매개효과: 다층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 인공지능 민주주의와 실존적 주체성의 교육
- 과학교육전공 재학생들의 진로갈등 현상을 마주하는 전임교원들의 담화 - 히스테리담화 및 분석가담화를 중심으로 -
- Ties That Bind: How Cohesion Shapes Writing Quality in EFL Essays
- AI 및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인식 분석
- 서울 거주 중장년의 AI·디지털 역량 유형 탐색 및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a Studies Vol.3 No.8 Contents
- 习近平关于树立和践行政绩观的重要论述:理论渊源、丰富内涵和时代价值
- 习近平文化思想对中华优秀传统文化传承创新的内在逻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