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및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인식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Educational Stakeholders’ Perceptions of AI and EdTech Utilizat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제46권 제2호, 115~14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 및 에듀테크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초등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교육 주체별 수용 양상의 차이와 그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연구학교로 운영 중인 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해당 학교에서 이루어진 AI 및 에듀테크 활용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 주체들의 인식을 설문 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AI 및 에듀테크가 수업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학생은 흥미 유발과 협업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부모는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는 중립적인 태도를 보였고, 특히 건강 문제나 과도한 의존 등 디지털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I 및 에듀테크 기반 교육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육 주체 간 인식의 차이를 반영한 실제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regarding the educational use of AI and EdTech,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ir acceptance patterns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differences. To this e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an elementary school designated as a digitally based innovative education research school. Drawing on the school’s actual experiences with AI and EdTech,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educational stakehold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perceived AI and EdTech as contributing positively to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quality, whereas students reported experiencing beneficial effects, particularly in terms of enhanced engagement and increased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In contrast, parents exhibited a neutral stance,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expectations and concerns, with relatively high levels of concern about potential digital side effects such as health issues and excessive dependence on technolog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ffectively implement AI and EdTech based education, practical approaches that consider perceptual differences among educational stakeholders are essentia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재 김안국의 공부론과 교육실천에 관한 연구
-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교육을 위한 제언 - 영어 사용 학습자 대상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 학교폭력 관계개선 조정위원의 조정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태도 및 만족도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 교육공무원 공무상 재해보상 개선 방안 탐색 - 공무상 재해심사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 감정을 넘어 회복력으로: 재난 경험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전환
- 미국 교원단체의 교권보호체계 비교 연구 -미국교사연맹과 전미교육협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 역사 콘텐츠와 역사교육의 소통 - 웹툰 『조선왕조실톡』 댓글 내용분석을 통한 역사 지식 활용 양상 탐색 -
- 초등학교 현장의 교육활동(교권) 보호 실태에 관한 교사 인식 조사 연구
- 자율전공학부 입학 동기와 대학생활 적응 사례 연구
- 성장신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아개념 변화의 매개효과: 다층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 인공지능 민주주의와 실존적 주체성의 교육
- 과학교육전공 재학생들의 진로갈등 현상을 마주하는 전임교원들의 담화 - 히스테리담화 및 분석가담화를 중심으로 -
- Ties That Bind: How Cohesion Shapes Writing Quality in EFL Essays
- AI 및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인식 분석
- 서울 거주 중장년의 AI·디지털 역량 유형 탐색 및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볼록 n각형의 나폴레옹의 정리에 대한 연구
- Ptecticus tenebrifer의 Life Cycle에 따른 생물학적 활용
- 볼록 사각형의 Lemoine Inellipse에 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