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 거주 중장년의 AI·디지털 역량 유형 탐색 및 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AI·Digital Competency Types and Analyzing Determinants among Middle-aged People Living in Seoul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저자명
- 길혜지 조효제 유정화 연동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제46권 제2호, 87~11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AI·디지털 역량 유형을 탐색하고 유형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AI·디지털 역량 함양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서울시민 디지털 역량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55세 미만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잠재계층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중장년의 AI·디지털 역량 유형은 크게 4가지, 즉, AI·디지털 고역량 집단(14.3%), AI·디지털 중역량 집단(6.1%), AI·디지털 저역량 집단(26.4%), AI 저·디지털 고역량 집단(53.2%)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형 분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월평균소득, 디지털 효능감, 디지털 성과, 디지털 이용 조절, 모바일 앱 서비스 이용 경험, 메타버스 이용 경험, 키오스크 능숙도, 디지털 교육 경험 여부, 디지털 교육 참여 희망이었다. 마지막으로 중장년층의 디지털 역량 유형별로 디지털 문제를 마주하였을 때 스스로문제를 해결하는 유형으로 분류될 확률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의 AI·디지털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ypes of AI and digital competencies among middle-aged adults and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se types, thereby providing implications for competency-building education. To this end, a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2023 Seoul Citizens’ Digital Competency Survey, targeting middle-aged adults aged 40-54 years residing in Seoul. The analysis identified four distinct types of AI and digital competency: High AI–Digital Competency (14.3%), Medium AI–Digital Competency (6.1%), Low AI–Digital Competency (26.4%), and Low AI–High Digital Competency (53.2%). The factors influencing classification into these groups included average monthly income, digital self-efficacy, digital outcomes, regulation of digital use, experience with mobile app services, experience with the metaverse, kiosk proficiency, prior digital education experience,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digital education. Finally,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groups in the likelihood of independently solving digital problems when confronted with them.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enhancing AI and digital competencies among middle-aged adults.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재 김안국의 공부론과 교육실천에 관한 연구
-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교육을 위한 제언 - 영어 사용 학습자 대상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 학교폭력 관계개선 조정위원의 조정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태도 및 만족도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 교육공무원 공무상 재해보상 개선 방안 탐색 - 공무상 재해심사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 감정을 넘어 회복력으로: 재난 경험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전환
- 미국 교원단체의 교권보호체계 비교 연구 -미국교사연맹과 전미교육협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 역사 콘텐츠와 역사교육의 소통 - 웹툰 『조선왕조실톡』 댓글 내용분석을 통한 역사 지식 활용 양상 탐색 -
- 초등학교 현장의 교육활동(교권) 보호 실태에 관한 교사 인식 조사 연구
- 자율전공학부 입학 동기와 대학생활 적응 사례 연구
- 성장신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아개념 변화의 매개효과: 다층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 인공지능 민주주의와 실존적 주체성의 교육
- 과학교육전공 재학생들의 진로갈등 현상을 마주하는 전임교원들의 담화 - 히스테리담화 및 분석가담화를 중심으로 -
- Ties That Bind: How Cohesion Shapes Writing Quality in EFL Essays
- AI 및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인식 분석
- 서울 거주 중장년의 AI·디지털 역량 유형 탐색 및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a Studies Vol.3 No.8 Contents
- 习近平关于树立和践行政绩观的重要论述:理论渊源、丰富内涵和时代价值
- 习近平文化思想对中华优秀传统文化传承创新的内在逻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