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태도 및 만족도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Attitudes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 Physical Self-Concept and Perceived Competence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제46권 제2호, 277~30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태도 및 만족도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청소년기의 심리·사회적 측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433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외모에 대한 자기개념과 신체 유능감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 태도가 높을수록 스포츠 자신감(64%)과 스포츠 유능감(65%)은 높은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해 외모 및 신체에 대한 유능감은 전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체육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스포츠에 대한 자신감과 수행 관련 자기유능감이 향상되는 경향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on physic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of adolescence.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a survey of 433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includ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related to appearance and physical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level. Second, a more positive learning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was found to strongly explain higher levels of sports confidence (64%) and sports competence (65%). Although the overall perceived competence related to physical appearance and body image tended to be low owing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found that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confidence in sports and task-related perceived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5).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태도 및 만족도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 46 (2), 277-300

MLA

.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태도 및 만족도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 46.2(2025): 277-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