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 사회정서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61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오은혜 신태섭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7권 제3호, 323~363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정서역량 모델을 구축하고, 이에 기반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Payton 외(2000)의 이론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학계 및 교육 현장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자기관리’, ‘대인관계 기술’, ‘공동체 가치’, ‘책임감 있는 의사결정’의 4개 하위역량과 15개 세부역량을 도출하였다. 기존 측정도구 분석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86개의 초기 문항을 구성하고, 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68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EFA), 확인적 요인분석(CFA), 공인타당도 검증을 통해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교육 맥락에 적합한 사회정서역량 구조와 측정도구를 제시하였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인성교육 종합계획과의 연계를 통해 사회정서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을 진단·지원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측정도구 개발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a social-emotional competency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corresponding assessment tool. Drawing on Payton et al. (2000) and a review of prior research, as well as expert evaluations from academia and school practitioners, the study identified four overarching domains—self-management, interpersonal skills, community values, and responsible decision-making—comprising 15 sub-competencies.
Based on analyses of existing instruments and expert reviews, an initial pool of 86 items was developed. A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elementary students, followed by a large-scale main survey that led to the refinement and confirmation of a final 68-item too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testing confirmed the structural validity and high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contextualization of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within the Korean educational setting by aligning the framework with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omprehensive Character Education Plan. The developed tool provide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diagnosing and supporting stud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in elementary education. Furthermore, it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sign, instructional planning, and program evaluation, while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ly grounded assessment tools in advancing social-emotional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