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 시대, 학생 행위주체성을 기르는 교육과정 방향 탐색

이용수  62

영문명
Exploring Curriculum Directions in the AI Era Through Student Agency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김대석 이의연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7권 제3호, 219~24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시대에 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학생 행위주체성(student agency)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최근 AI 기술이 반복·규칙 기반 업무를 넘어 고숙련·지적 영역까지 대체할 가능성을 보이면서, 창의성, 비판적 사고, 협업 등 인간 고유 역량이 한층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 도입된 AI 도구들이 학생의 자율적 탐색과 맥락적 의미 형성을 제한할 위험이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먼저 AI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 고유 역량과 학생 행위주체성의 개념적 기반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전이(transfer)’가 단순 지식 적용이 아니라 새로운 맥락과 관계에서 의미를 재구성하는 복합적 활동임을 논의하였다. 특히, 깊이 있는 학습(deep learning)이 유의미한 전이를 촉진하며, 이 과정 전반에서 학생 행위주체성이 두 과정을 매개하고 추동하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이론적 탐구를 바탕으로 AI 시대 교육과정에서 학생이 행위주체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AI 정보의 비판적 재해석을 유도하는 학습 환경, 실제 데이터를 탐구적으로 다루는 기회, 협력적 의사소통을 통한 의미 재구성을 지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기술 효율성 중심의 접근을 넘어, 학생이 스스로 의미를 창출하고 공동체적 가치를 형성하는 미래 교육과정 설계에 이론적 토대와 방향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sign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cusing on the concept of student agency. As AI technology increasingly impacts highly skilled and intellectual domains, human capabilities such a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and collaboration have gained prominence. However, concerns exist that AI tools in education might limit students’ autonomous exploration and contextual meaning-making. This study, stemming from these concerns, first explores the human capabilities required in the AI era and the conceptual basis of student agency from multiple perspectives. It then discusses 'transfer' not merely as knowledge application but as a complex process of reconstructing meaning in new contexts. In particular,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lationship wherein deep learning promotes meaningful transfer, with student agency serving as a core driving force that mediates and propels both processes. Finally, the study proposes that an AI-era curriculum, to foster student agency, should aim to create learning environments for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AI-driven information, provide opportunities for inquiry-based data exploration, and promote collaborative meaning reconstruction. These discussions, moving beyond technological efficiency, offer theoretical grounding and direction for designing a future curriculum where students independently generate meaning and cultivate communal valu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전이, 깊이 있는 학습 및 행위주체성의 관계
Ⅳ. AI 시대, 학생 행위주체성을 기르는 교육과정의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석,이의연. (2025).인공지능 시대, 학생 행위주체성을 기르는 교육과정 방향 탐색. 교육방법연구, 37 (3), 219-246

MLA

김대석,이의연. "인공지능 시대, 학생 행위주체성을 기르는 교육과정 방향 탐색." 교육방법연구, 37.3(2025): 219-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