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경험과 삼각 멘토링 모델의 역할: H-점프스쿨 대학생 봉사자 출신 사회인 멘토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ole of Personal Experiences and the Triangular Mentoring Model in Shaping Early Generativity: Narratives from Professional Mentors in the H-Jump School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송경실 오유라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3권 제2호, 7~4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점프의 삼각 멘토링 모델은 청소년 멘티-대학생 봉사자-사회인 멘토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세 주체 모두의 성장에 기여하는 선순환적 구조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H-점프스쿨 프로그램에 대학생 봉사자로 참여한 후 사회인 멘토로 전환된 10인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여, 이들이 삼각 멘토링 모델을 통해 경험한 생산성 발현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과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고, McAdams & de St. Aubin(1992)의 생산성 모델을 근거로 현장 텍스트를 코딩하였다. 그 결과, 면담 참여자의 이야기에서 생산성의 7가지 요소뿐 아니라 ‘개인적 성장’, ‘자기 인식’, ‘공간’ 등 기존 이론을 확장하는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개인이 지닌 자원과 멘토링 경험이 생산성 대본 구성에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를 통해 초기 생산성 개념을 구체화하고, 삼각 멘토링 모델이 개인의 생산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제시하며, 삼각 멘토링 모델의 사회적 가치와 지속 가능성,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JUMP’s triangular mentoring model facilitates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among teenagers,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and professional mentors, fostering mutual growth. This study explores how generativity emerges through this model by analyzing the narratives of 10 interviewees who transitioned from university volunteers in the H-JUMP School program to professional mentors.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narrative inquiry, the study employs McAdams and de St. Aubin’s (1992) generativity model to analyze field texts. Findings reveal not only the model’s seven generativity components but also expanded concepts such as personal growth, self-awareness, and space. Participants’ resources and mentoring experience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generativity scripts, highlighting the model’s role in early generativity development. This study offers empirical insights into how triangular mentoring supports personal generative growth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its social value, sustainability, and potential for broader appl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내러티브 신경과학의 현상학적 모델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 대학의 대규모 원격수업에서 글쓰기 기반 상호작용 전략의 효과성 탐색
- 초등학생 사회정서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