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러티브 신경과학의 현상학적 모델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a Phenomenological Model of Neuroscience of Narrative and Its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마징이 강현석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3권 제2호, 87~11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내러티브 신경과학의 현상학적 모델을 토대로 교육과정 설계, 실행, 평가의 혁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 분석과 이론 통합 방법을 병행하여 내러티브 신경과학 및 현상학 관련 핵심 문헌을 분석하고, 이를 통합하여 교육과정 적용 모델을 도출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의도성, 시간성, 전체성의 세 개념을 중심으로 뇌의 DMN과 사회적 뇌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의미 구성, 정서적 공감, 사회적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현상학과 신경과학의 통합은 내러티브 기반 교육과정의 철학적·과학적 타당성을 강화하며, 학습자 중심 설계와 다차원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제안된 모델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실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서, 신경과학과 철학의 융합을 통한 교육학적 연구와 교육과정 개발의 진전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novative directions for curriculum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a phenomenological model of neuroscience of narrative. To this end, it employs a combined approach of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integration, analyzing key works related to neuroscience of narrative and phenomenology, and synthesizing them to develop an applicable curriculum model. The proposed model, centered on the three concepts of intentionality, temporality, and holism, elucidates mechanisms through which interactions between the brain’s DMN and social brain network enhance learners’ meaning-making, emotional empathy, and social cognition. The integration of phenomenology and neuroscience strengthens the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validity of narrative-based curricula, enabling learner-centered design and multidimensional assessment. Future research should apply the proposed model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and conduct empirical studie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Ultimately, it is anticipated that the fusion of neuroscience and philosophy will advance educational research and curriculum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내러티브 신경과학의 이론적 토대와 현상학적 모델
Ⅲ.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내러티브 신경과학의 현상학적 모델의 시사점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교육연구 제29집 목차
- 초등학생들의 생활정치 실천 경험 연구 - 학생 다모임과 지역사회 참여 사례를 중심으로
- 시스템사고에 기반한 초등학교 기후변화 수업 방안 - 인과지도 활용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