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가 활용이 청소년의 폭력성과 분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tudy on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Youth Aggression and Anger : Focusing on the Measurement of Youth Competency Index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V(NYPI)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김영재 김은주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3권 제3호, 91~10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사회에는 동기 없는 폭력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선행 연구 결과이러한 폭력현상은 스트레스가 주요 요인이며, 또한 이 스트레스는 여가에 의해해소된다는 연구가 있으므로 여가가 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는 것은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V(NYPI)’를이용하여 여가참여가 초·중·고 청소년의 폭력성과 분노경험에 어떤 영향을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통하여 분노의 정도를 낮출 수 있는 대책을논의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초·중·고 청소년의 여가태도와 여가유능감은 폭력행동과 회피, 분노폭력행동과비분노폭력행동에 여러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청소년의 분노 요인들을 여가라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으며, 여가에 대한생각(여가태도)과 여가에 대한 스스로 느끼는 유능감(여가유능감)이 다양한방법으로 청소년들의 분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연구는 청소년의 여가활동 참여가 폭력성과 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여가태도 및여가유능감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인 여가태도와 높은여가유능감이 폭력 대처 능력 향상 및 분노 폭력 행동 감소에 유의미하게기여함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함양을위해 여가활동 기회 확대뿐 아니라 주도적 참여와 유능감 증진을 지원하는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Unmotivated violence is on the rise in recent year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stress is a major factor in this violence, and that this stress is relieved through leisure activities. Therefore,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impact of leisure on anger. This study, using the “Youth Competence Index V (NYPI),”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leisure participation on violence and anger experience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outh. The results provided basic data for discussing strategies to reduce anger levels. The results revealed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outh's leisure attitudes and leisure competence had various effects on violent behavior, avoidance, and angry and non-anger violent behavior.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trigger youth anger through the lens of leisure, confirming that both their perceptions of leisure (leisure attitudes) and their perceived competence in leisure (leisure competence) negatively impacted youth anger in various way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violence and anger, focusing on leisure attitudes and leisure competence. The results empirically confirmed that positive leisure attitudes and a high level of leisure competenc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improved coping skills and reduced anger and violent behavior. This suggests that policy interventions that support proactive participation and a sense of competence, as well as expanded opportunities for leisure activities, are necessary to foster adolescents'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