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I): 임상 아형
이용수 0
- 영문명
-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Depressive Disorder 2025 (II): The Subtypes of Depression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박성용 김원 박원명 서정석 김낙영 최원석 우영섭 이정구 양찬모 성형모 왕성민 정영은 정종현 민경준 전덕인 윤보현 김문두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64권 제3호, 193~19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The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Depressive Disorder (KMAP-DD) has been continuously revised. The sixth edition reflected new findings and the latest trends in the areas of pharmacological treatment. This study aimed to suggest strategies and treatment options according to the subtype of depression using data from the KMAP-DD-2025.
Methods
A total of 136 psychiatrists with clinical experience in depressive disorders were selected. The questionnaires for KMAP-DD 2025 were sent to these participants via mail. The KMAP-DD 2025 comprises overall treatment strategies and treatment options under specific circumstances. Each treatment strategy or treatment option was evaluated with an overall score of nine and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of recommendation.
Results
For persisting depressive disorder, antidepressant monotherapy including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SNRI), bupropion, agomelatine, vortioxetine, and mirtazapine, and combination therapy of antidepressants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were recommended as first-line medications. For melancholia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SSRI, SNRI, mirtazapine, vortioxetine, milnacipran, bupropion, and agomelatine were recommended as first-line medications. For mixed features, escitalopram, sertraline, desvenlafaxine, fluoxetine, paroxetine, bupropion, aripiprazole, quetiapine, olanzapine, valproate, lithium, and lamotrigine were recommended as first-line medications. For anxious distress, escitalopram, sertraline, paroxetine, desvenlafaxine, venlafaxine, mirtazapine, fluoxetine, duloxetine, aripiprazole, quetiapine, and olanzapine were recommended as first-line medications.
Conclusion
The preferences of experts regarding antidepressants, mood stabilizers, and antipsychotics differed according to the subtype of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perts treat patients with a major depressive disorder after considering the depression subtype.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과 치료 상황에서 벌어지는 급성 초조 및 폭력 행동의 약물학적 치료 방안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사회공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활동을 중심으로
- 반정신의학이 정신의학에 시사하는 것
-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영유아 심리평가 도구: 초기 부모-자녀 관계 평가를 위한 관찰 접근법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I): 임상 아형
- 노인 우울증의 신경생물학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 주요우울삽화의 치료전략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V): 안전성, 부작용, 동반 신체질환을 고려한 항우울제 선택 및 치료저항성 우울증의 임상적 정의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II): 소아·청소년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V): 여성 및 노인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VI): 비약물학적 생물치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