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사회공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활동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Psychiatrists: Initiatives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정찬승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64권 제3호, 122~12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sychiatrists play a pivotal role in sustaining the mental resilience and social cohesion of contemporary society. Beyond clinical practice, their commitment to public mental health constitutes a profound form of social responsibility. This article presents the evolving landscape of social responsibility among psychiatrists in Korea, centering on the initiatives led by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s Social Responsibility Committee. Since its formal establishment in 2018, the Committee has transitioned from direct outreach to vulnerable populations toward capacity-building, intersectoral collaboration, and systemic advocacy, particularly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large-scale disasters. The key domains of activity include disaster mental health response, support for trauma-informed journalism, mental health services for artists, refugees, and migrants, and public advocacy through media commentary. Notably, psychiatrists have developed mental health guidelines for journalists and interpreters in disaster settings, established peer support groups for media professionals, and spearheaded outreach efforts such as “MIND RUN,” a running-based mental health initiative. These efforts exemplify a comprehensive model of psychiatric engagement that integrates clinical insight, community participation, and ethical leadership. By articulating the core principles—mental health promotion, capacity enhancement, strategic partnerships, efficiency, and mutual growth—this contribution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psychiatry’s public mission. In doing so, it reaffirms the psychiatrist’s role not only as a healer of individuals, but also as a responsible agent within the collective fabric of society.
영문 초록
목차
사회공헌의 출발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활동 5가지 원칙
사회공헌의 실천
사회공헌의 의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과 치료 상황에서 벌어지는 급성 초조 및 폭력 행동의 약물학적 치료 방안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사회공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활동을 중심으로
- 반정신의학이 정신의학에 시사하는 것
-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영유아 심리평가 도구: 초기 부모-자녀 관계 평가를 위한 관찰 접근법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I): 임상 아형
- 노인 우울증의 신경생물학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 주요우울삽화의 치료전략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V): 안전성, 부작용, 동반 신체질환을 고려한 항우울제 선택 및 치료저항성 우울증의 임상적 정의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II): 소아·청소년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V): 여성 및 노인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VI): 비약물학적 생물치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