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반정신의학이 정신의학에 시사하는 것
이용수 0
- 영문명
- Implications of Antipsychiatry for Psychiatry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강웅구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64권 제3호, 129~14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Antipsychiatry is a critical movement in psychiatry that emerged during the anti-authoritarian and progressive atmosphere of the 1960s. In some regions, such as Italy, a nationwide reform of the mental healthcare system was implemented based on concepts associated with this movement. However, in most other parts of the world, mainstream psychiatry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it. Although the proponents of antipsychiatry maintained their stance and opinions throughout their lives, the movement is now regarded as a historical event. In this article, the author reviews some of the key early works published by leading figures of the antipsychiatry movement, such as Michel Foucault, Thomas Szasz, and Ronald D. Laing. Furthermore, the reformed Italian mental health system, inspired by Franco Basaglia, is briefly discussed.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antipsychiatry movement still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sychiatrists and contemporary psychiatric practice. It poses a fundamental question for psychiatrists: “What are psychiatric disorders, and who are psychiatric patients?”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본 론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과 치료 상황에서 벌어지는 급성 초조 및 폭력 행동의 약물학적 치료 방안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사회공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활동을 중심으로
- 반정신의학이 정신의학에 시사하는 것
-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영유아 심리평가 도구: 초기 부모-자녀 관계 평가를 위한 관찰 접근법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I): 임상 아형
- 노인 우울증의 신경생물학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 주요우울삽화의 치료전략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V): 안전성, 부작용, 동반 신체질환을 고려한 항우울제 선택 및 치료저항성 우울증의 임상적 정의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II): 소아·청소년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V): 여성 및 노인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VI): 비약물학적 생물치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