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과 치료 상황에서 벌어지는 급성 초조 및 폭력 행동의 약물학적 치료 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Acute Agitation and Violent Behavior in Psychiatric Setting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정성훈 김용식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64권 제3호, 109~12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This article examined the management of acute agitation and violent behavior in psychiatric settings, focusing on the dilemma in choosing between patient autonomy and safety.
It explored the shift from coercive measures to less invasive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and the emerging role of technology in predicting and managing such behaviors.
Methods
A comprehensive narrative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and clinical guidelines was conduc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various pharmacological agents, including typical and atypical antipsychotics, and benzodiazepines was analyzed. Further, non-pharmacological approaches, risk assessment tools, and the potential of emerging technologies like alternative routes of drug administration and wearable sensor technology was also reviewed.
Results
Traditional methods like physical restraint and coercion are being increasingly scrutinized due to ethical concerns.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particularly parenteral and alternative routes of administration (e.g., inhaled, sublingual), offer a faster onset and avoid invasiveness but vary in efficacy and safety. Haloperidol and lorazepam remain the most common agents, while newer agents like inhaled loxapine and sublingual dexmedetomidine show promise. Emerging technologies present a proactive approach to predicting and managing agitation, although challenges related to cost, data security, and patient acceptance persist.
Conclusion
Managing acute agitation requires balancing patient rights with safety. While pharmacological options have evolved, ethical considerations and practical limitations remain. Integrating less coercive pharmacological strategies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offers a potential path forward, emphasizing the need for ongoing research, policy development, and training to optimize patient care and safety in psychiatric settings.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과 치료 상황에서 벌어지는 급성 초조 및 폭력 행동의 약물학적 치료 방안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사회공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활동을 중심으로
- 반정신의학이 정신의학에 시사하는 것
-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영유아 심리평가 도구: 초기 부모-자녀 관계 평가를 위한 관찰 접근법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I): 임상 아형
- 노인 우울증의 신경생물학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 주요우울삽화의 치료전략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V): 안전성, 부작용, 동반 신체질환을 고려한 항우울제 선택 및 치료저항성 우울증의 임상적 정의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II): 소아·청소년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IV): 여성 및 노인
-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25 (VI): 비약물학적 생물치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