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에 따른 3-4학년 단원 활동 분석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extbook Activities of 3rd-4th Grade based on 2022 Revised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재근
- 간행물 정보
- 『초등교과교육연구』제43호, 29~4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textbook activities each lesson related with the six kinds of key competences: self-management, community,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aesthetic emotion and creativity based on 2022 revised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Students must get their own key competence through their class activities based on the authorized textbook. Various kinds of activities were analyzed with one of the 3rd and 4th elementary English textbook among 8 kinds of authorized textbooks. One of the activities such as [On My Own] is related with self-management competence and students can build his/her learning target by themselves. Another activity such as [Play Together 1, 2 and 3] makes them to get community competence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as well as self-management competence through playing the role-play. In the activity of [Play Together 3], they are required to get aesthetic emotion competence through internalizing aesthetic value of drawing their own feeling or thinking by themselves. Besides, they can get self-management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by themselves. Not like 2015 revised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two more competences such as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aesthetic emotion were added in 2022 revised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In short, textbook activities each lesson will make students to get six kinds of key competences while they learn 4 language skills with viewing and presenting skills.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요인 분석
-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그릿, 진로태도성숙, 대학몰입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