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누리과정 예술 경험 영역과 기본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및 음악과의 목표와 내용 연계성 분석: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76

영문명
Nuri Curriculum Art Experience Area and Basic Curriculum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Pleasant Life and Music Subject and Objectives and Contents: Focusing on the ‘Music’ Subject in the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임상미 정은희
간행물 정보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6권 제2호, 87~11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연속적 성장을 위한 음악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문헌 연구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을 위한 ‘분석 준거’를 설정하여,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즐거운 생활 및 초등학교 3, 4학년군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와 내용 간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즐거운 생활 간 교육 목표 및 내용의 연계성은 다소 약하게 나타났다. 반면,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3, 4학년군 음악과 간에는 연계성이 높게 나타나, 세 교육과정 간 음악교육 내용이 연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었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특수학교 초등 1, 2학년 학생들의 인지발달 수준을 반영한 음악과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음악적 성장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학생을 위한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각 학년군의 음악과 교육 목표 및 내용을 연계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의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 review to propose direction for music education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analysis criterion’ for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urriculum was reorganiz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Nuri curriculum, the Pleasant life of the basic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music curriculum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The connection of the curriculum was analyzed based on the subcategories of ‘continuity’, ‘partial continuity’, ‘non-continu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ntinuity betwee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Basic Curriculum’s Pleasant Life subject was relatively weak in terms of educational object and content. In contrast, the continuity betwee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Music Curriculum for Grades 3 and 4 was strong, not forming a continuitial and systemic structure across the three curricula.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omote musical growth by developing a music and curriculum reflecting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 of 1st and 2nd graders of special education school. Second, the curriculum for student with disability should be reorganized in the direction of linking the Nuri crriculum and to the music and educational object and contents of each elementary school grade grou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및 음악과의 목표와 내용의 연계성 분석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상미,정은희. (2025).누리과정 예술 경험 영역과 기본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및 음악과의 목표와 내용 연계성 분석: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16 (2), 87-113

MLA

임상미,정은희. "누리과정 예술 경험 영역과 기본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및 음악과의 목표와 내용 연계성 분석: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16.2(2025): 87-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