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국어과 수업 경험에 따른 공통교육과정 국어과 교수학습 및 평가의 적합성 분석
이용수 30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Appropriateness of Teaching and Assessment in the National Comm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the Teaching Experiences of Teachers at Schools for the Deaf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진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6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국어과 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공통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평가 방식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연구로 수행되었다. 청각장애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6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고,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식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면담 자료를 주제별 범주화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들은 교수학습 전략을 원칙적으로는 수용하나, 상당 부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교수 자료 지원 체계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공통교육과정 평가 방식의 획일적 기준의 한계를 지적하였으며, 청각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 및 과정 중심 평가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의 언어적 특성과 학습 접근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및 평가 체계의 정비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qualitatively explored the appropriateness of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practices within the national comm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grounded in the classroom experiences of six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rving in schools for students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thematic categorization based on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findings indicate that teachers accepted the curriculum’s instructional strategies in principle but routinely reconstructed them in practice to accommodate students’ diverse language modalities and cognitive levels. Instruction was frequently adapted through the use of sign language, visual scaffolds, and differentiated materials. Regarding assessment, teachers identified significant limitations in standardized written format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process-based, meaning-centered evaluation approaches. They called for assessment criteria that recognize sign language as a legitimate expressive mode and support individualized performance measures. This study highlights the structural and pedagogical adjustments required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and validity of the national common curriculum for deaf students and offers implications for curriculum reform and teacher support within inclusive and special education contex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