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말소리장애 아동 발화에 대한 AI 스피커의 음성인식 정확도와 청자의 말명료도 비교
이용수 74
- 영문명
- Comparison of Speech Recognition Accuracy and Speech Intelligibility for the Speech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나예진 김지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6권 제2호, 65~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말소리장애 아동의 발화에 대해 인공지능(AI) 스피커가 얼마나 정확하게 음성을 인식하는지를 일반 청자의 말명료도 판단과 비교함으로써, AI 기반 음성인식 기술의 언어평가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4~7세의 말소리장애 아동 10명과 일반 아동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아동의 낱말 및 문장 수준의 발화를 녹음한 후 AI 스피커를 통해 음성 인식 정확도를 분석하고, 일반 청자 10명의 전사 결과를 통해 말명료도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의 발화에 대해 AI 스피커의 음성인식 정확도는 일반 청자의 말명료도 평가보다 낮았으며, 특히 말소리장애 아동의 경우 그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낱말 수준보다 문장 수준의 발화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AI 스피커의 인식 정확도와 일반 청자의 말명료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AI 기반 음성인식 기술이 언어재활사의 청지각적 평가를 보완하는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향후 음성인식 기술의 발전을 통해 말소리장애 아동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언어 평가 및 치료 방법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an AI speaker in recognizing speech produced by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 comparing it with human listeners’ assessments of speech intelligibility. A total of 20 children aged 4–7, including 10 with SSD and 10 typically developing (TD) pe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Speech samples, consisting of 24 words and 24 sentences, were recorded and evaluated using both an AI-based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system and ten adult listeners. The study assessed recognition accuracy and speech intelligibility at the syllable, and word level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peech intelligibility ratings by human listeners were higher than the speech recognition accuracy of AI speakers for children's utterances. This discrepancy was particularly pronounced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 and more evident at the sentence level than at the word level.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I recognition accuracy and human listener intelligibility ratings, suggesting the potential of AI-based speech recognition as a complementary tool to perceptual evaluations conducted b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is study highlights the possibility that advancements in AI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could contribute to more objective and efficient assessment and intervention methods for children with SS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