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성어‧의태어를 활용한 조음 중재 프로그램 효과: 지적장애 학생의 자음 정확도 및 말 명료도 향상
이용수 33
- 영문명
- Effectiveness of a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Based Articul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 on Consonant Accuracy and Speech Intelligibility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송지윤 고은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6권 제2호, 21~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적장애 학생은 낮은 인지 능력으로 언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며, 특히 조음영역 결함은 음소 산출과 의미 있는 단어 형성에 핵심적인 장애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의성어․의태어를 활용한 조음중재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조음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총 12회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학생 5명은 자음 정확도, 음절 및 단어 단위 말명료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효과량(Cohen’s d)은 2.75~6.21로 매우 큰 수준이었다. 특히 초기 자음 정확도와 말명료도가 낮을수록 향상 폭이 컸다. 이러한 결과는 의성어․의태어 기반 중재가 발화 촉진과 명료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주며, 조음 능력이 낮은 지적장애 학생에게 적용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의성어와 의태어의 기능적 측면에 주목하여 발화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언어 중재 방법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low cognitive abiliti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ten negatively affect their language development, resulting in difficulties in achieving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various language components, articul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accurately producing phonemes and forming meaningful words.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articul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an articulation intervention program utilizing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over 12 sessions, and all five participating students demonstrated improvements in consonant accuracy as well as speech intelligibility at both the syllable and word levels. Results from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three outcome measures, with very large effect sizes (Cohen’s d ranging from 2.75 to 6.21), indicating a high level of intervention effectiveness. Notably, students with lower initial performance in consonant accuracy and speech intelligibility showed greater gains, suggesting that training using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can be effectively applied even to students with lower articulation abiliti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functional potential of onomatopoeia and mimetic expressions and suggest their broader applicability as a language intervention metho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