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와 가정 연계 텔레코칭을 통한 기능 기반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
- 영문명
- The Effects of Function-Based Multi-Component Intervention via School-Home Collaborative Telecoaching on Disrup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이선희 박소영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12권 제2호, 159~18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텔레코칭을 통한 기능 기반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방해행동과 교사와 부모의 중재 충실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방해행동을 보이는 자폐성장애를 지닌 초등학생 한 명이고, 중재자로 아동이 소속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아동의 어머니가 참여하였다. 연구 설계는 상황간 중다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였고,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 아동의 방해행동에 대한 기능 행동 평가를 실시하고, 기능 행동 평가에 근거하여 기능 기반 중재를 계획하여 실행하였다. 중재 실행은 방해행동이 자주 발생하는 특수학급과 통합학급의 수업시간과 가정의 과제 활동 시간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능 기반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방해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 종료 후에도 중재의 효과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와 가정에서 중재를 실행한 교사들과 어머니의 중재는 중재 계획에 따라 정확하게 실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학교와 가정 연계 텔레코칭을 통한 기능 기반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통합학급과 특수학급, 가정에서의 과제 수행 상황에서 방해행동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안임을 입증하였으며, 방해행동 중재 지원을 위한 학교와 가정 연계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function-based multi-component intervention through tele-coaching on the disru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s well as the Fidelity of implementation by teachers and the parent.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one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ASD who exhibited disruptive behavior, the child’s special class teacher, inclusive class teacher, and mother. The study design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and was conducted in the stages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A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FBA) was conducted on the disruptive behavior of the child participating in the study, and a function-based intervention was planned and implemented based on the FBA.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during class hours in special and inclusive classes where disruptive behavior frequently occurred and during homework activity hou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 function-based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disru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ASD, a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maintained even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of the teachers and parents who implemented the intervention was found to have been implemented accurately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plan, Accordingly, it was proven that the function-based multi-component intervention through telecoaching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reducing disruptive behaviors in inclusive classe, special classe, and homework performance situations of children with ASD, and the collaborative partnerships between school and home for support and intervention of the disruptive behaviors was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진형 행동연쇄의 최대-최소촉구와 최소-최대촉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T-ball 치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부모주도 중재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기술 습득의 일반화와 유지에 미치는 영향
- 증강현실(AR) 기반 어플리케이션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동사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 비디오 자기점검 절차가 예비 특수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 텔레코칭을 통한 가정기반 개별시도교수가 자폐성 장애 아동의 언어행동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 사회 및 교육 문제 해결 위한 행동과학의 실천적 접근 탐색
- 학교와 가정 연계 텔레코칭을 통한 기능 기반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 지원(PBS)에 대한 중국 특수교사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과 그 차이
- 장애인 복지기관 종사자의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중재 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성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