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증강현실(AR) 기반 어플리케이션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동사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n augmented reality (AR)-based application intervention on verb vocabulary acquisi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김성은 홍이레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12권 제2호, 17~4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증강현실(AR)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언어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의 동사 어휘 습득, 과제 참여율, 일반화 및 유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ASD 진단을 받은 아동 3명으로 만 4세 5개월 남아 A, 만 7세 1개월 여아 B, 만 7세 8개월 남아 C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 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AR 어플리케이션, ABA 기반의 최대–최소 촉구 절차, 그림 카드 강화로 구성되었으며, 회기당 10분 이내로 주 2회 실시되었다. 각 회기에서는 일상생활 관련 동사 20개를 무작위로 제시하고, 아동의 반응을 정반응과 오반응으로 기록하였다. 과제 참여율은 10초 전체 간격 기록법으로 평가되었으며, 중재 충실도는 훈련된 관찰자에 의해 회기별로 점검되었다. 연구 결과, 세 아동 모두 중재 이후 동사 수행률과 과제 참여율이 기초선에 비해 향상되었으며, 일반화 및 유지 단계에서도 학습 효과가 지속되었다. 특히 AR의 시청각 자극은 아동의 주의 집중을 유도하고, 최대–최소 촉구는 독립적 언어 산출을 점진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습득된 동사는 가정 맥락에서도 사용되었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반응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R 기술이 ASD 아동의 언어 중재에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특수교육 및 언어 재활 분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 Augmented Reality (AR)-based language intervention on verb acquisition, task engagement,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ree children with ASD participated in a multiple-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The intervention included an AR application, most-to-least prompting, and reinforcement with picture cards, delivered twice weekly for 10-minute sessions. Each session presented 20 daily-life verbs in random order, and responses were recorded. Task engagement was measured using 10-second whole-interval recording, and treatment fidelity was monitored by trained observers. All participants showed improved verb acquisition and engagement during intervention compared to baseline, and these gains were maintained i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phases. The AR application’s audiovisual features enhanced attention, while the prompting strategy supported independent verbal responses. Findings suggest that AR-based interventions can serve as effective tools for supporting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AS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진형 행동연쇄의 최대-최소촉구와 최소-최대촉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T-ball 치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부모주도 중재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기술 습득의 일반화와 유지에 미치는 영향
- 증강현실(AR) 기반 어플리케이션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동사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 비디오 자기점검 절차가 예비 특수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 텔레코칭을 통한 가정기반 개별시도교수가 자폐성 장애 아동의 언어행동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 사회 및 교육 문제 해결 위한 행동과학의 실천적 접근 탐색
- 학교와 가정 연계 텔레코칭을 통한 기능 기반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 지원(PBS)에 대한 중국 특수교사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과 그 차이
- 장애인 복지기관 종사자의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중재 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성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