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복지기관 종사자의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중재 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성 탐색
이용수 3
- 영문명
- Exploring Directions for Enhancing Intervention Competencies for Challenging Behaviors i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Disability Welfare Institution Staff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나경은 김희진 김보람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12권 제2호, 41~6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복지기관 종사자의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중재 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 복지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은 감각 민감성과 제한된 감정적 표현, 제한된 의사소통 형태로 나타났으며 도전적 행동의 기능 파악의 어려움과 윤리적․현실적 한계에 직면하였다. 둘째, 중재 실행의 경험과 성공 실패 요인을 살펴보면 신뢰 관계와 팀 내 중재 전략 공유는 성공 요인이었으나 구성원 간 해석 차이와 비일관성은 실패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사자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요구는 장애에 대한 이해, 수평적 관계, 협력이 강조되었으며, 종사자 간의 경험 공유 체계, 매뉴얼 개발, 팀 기반 교육, 장기 컨설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중증도별 인력 배치와 공간 조정도 요구되었다. 넷째, 도전적 행동으로 인한 소진과 회복 영역에서는 반복되는 도전적 행동과 업무 과중, 보호자의 기대는 소진을 유발하였다. 긍정적 상호작용, 휴식 보장, 유연한 근무, 대체 인력과 제도적 지원이 회복 요인으로 제시되었으며, 장기적 직무 지속을 위한 기반이 필요함이 강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복지기관 종사자의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중재 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directions for enhancing the intervention competencies of staff at disability welfare institutions in supporti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exhibit challenging behaviors.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with Disability Welfare Institute staff,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haracterized by sensory sensitivity, limited emotional expression, and restricted forms of communication, and were accompanied by difficulties in identifying the functions of these behaviors as well as ethical and practical constraints. Second, trust-based relationships and strategy sharing contributed to successful interventions, while interpretational differences and inconsistency hindered them. Third, participants emphasized the need for disability awareness, egalitarian relationships, and collaboration, along with support systems such as manuals, team-based training, and long-term consultation. Requests were also made for staffing based on severity and for environmental adjustments. Fourth, repeated exposure to challenging behaviors, heavy workloads, and caregiver expectations contributed to burnout, while positive interactions, rest, flexible work schedules, substitute personnel, and institutional support promoted recover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진형 행동연쇄의 최대-최소촉구와 최소-최대촉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T-ball 치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부모주도 중재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기술 습득의 일반화와 유지에 미치는 영향
- 증강현실(AR) 기반 어플리케이션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동사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 비디오 자기점검 절차가 예비 특수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 텔레코칭을 통한 가정기반 개별시도교수가 자폐성 장애 아동의 언어행동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 사회 및 교육 문제 해결 위한 행동과학의 실천적 접근 탐색
- 학교와 가정 연계 텔레코칭을 통한 기능 기반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 지원(PBS)에 대한 중국 특수교사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과 그 차이
- 장애인 복지기관 종사자의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중재 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성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