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긍정적 행동 지원(PBS)에 대한 중국 특수교사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과 그 차이
이용수 3
- 영문명
- Perceptions and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among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진원서 이춘염 량동 백종남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12권 제2호, 207~22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특수교사 1,020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 PBS)의 중요도 및 실행도에 대한 인식과 그 차이를 분석하여, 중국에서의 PBS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 도구는 미국 PBIS 센터의 자기평가 설문지(Self-Assessment Survey, SAS)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특수교사들은 PBS의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Tier 2(소그룹 지원)와 Tier 3(개별화 지원)에서 그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바탕으로 중국의 PBS 발전을 위해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한 항목으로는 학교지원 영역에서 전문성 개발, 교직원 참여, 행동 데이터 시스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충실도 데이터로 나타났다. 학급지원 영역에서 학생의 긍정적 참여유도, 차별화된 수업, 학업 성공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ier 2 (소그룹 지원) 영역에서 실행 충실도 항목이 각각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PBS의 주요 실행 요소에 대한 인식 중요도와 실제 실행도를 IPA 기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PBS 실행 격차를 가시화하고 우선 개선 영역을 도출함으로써, 중국 특수교육 현장에서 PBS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한 실천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mprovement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implementation in China by analyzing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PBS among 1,020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search instrument was the Self-Assessment Survey (SAS) developed by the U.S. PBIS Cent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PBS as highly important, their reported level of performance fell short, with the gap particularly pronounced in Tier 2 (targeted group support) and Tier 3 (individualized support). Second, based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key areas requiring intensive improvement were identified. These include, in the schoolwide support domain: professional development, staff involvement, behavior data systems, data-based decision-making, and fidelity data; in the classroom support domain: actively engage students,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academic success; and in the Tier 2 (targeted group support) domain: fidelity of implement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ystematically visualized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BS implementation using IPA, and identified priority areas for improvement, thereby offering practical directions for the effective establishment of PBS in China’s special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진형 행동연쇄의 최대-최소촉구와 최소-최대촉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T-ball 치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부모주도 중재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기술 습득의 일반화와 유지에 미치는 영향
- 증강현실(AR) 기반 어플리케이션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동사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 비디오 자기점검 절차가 예비 특수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 텔레코칭을 통한 가정기반 개별시도교수가 자폐성 장애 아동의 언어행동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 사회 및 교육 문제 해결 위한 행동과학의 실천적 접근 탐색
- 학교와 가정 연계 텔레코칭을 통한 기능 기반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 지원(PBS)에 대한 중국 특수교사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과 그 차이
- 장애인 복지기관 종사자의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중재 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성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