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관적 행복감의 맥락에서 매우 민감한 사람(HSP)의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54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Highly Sensitive Persons: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South Korea and Japan
- 발행기관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저자명
- 김동윤
- 간행물 정보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7권 제2호, 169~1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증 연구가 부족한 ‘매우 민감한 사람(Highly Sensitive Person; HSP)’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탐색하고, 한국적 맥락에 맞는 지원 방안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축적된 일본의 사례를 비교 준거로 삼아, 내러티브 문헌고찰을 통해 양국의 문화적 특성이 HSP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SP의 민감성은 환경 자극에 대한 취약성으로 인해 행복감을 저해하는 위험 요인인 동시에, 심미적 감수성과 같은 강점을 통해 행복감을 증진하는 보호 요인으로 기능하는 양면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주의 성향이 강한 한국에서는 ‘관계적 요인’이, 내면의 정서 조절을 중시하는 일본에서는 ‘내면적 대처 방식’이 HSP의 행복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화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 HSP 연구의 구체적인 실증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 한국 HSP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심리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influencing the happiness of Highly Sensitive Persons (HSPs) an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ulturally tailored support measures, addressing the scarcity of empirical research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SWB) in South Korea. To this end, using the extensive body of research from Japan as a comparative reference, this study employs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the impact of each country’s cultural characteristics on the well-being of HSPs. The results reveal that an HSP’s sensitivity has a dual nature: it acts as a risk factor that can diminish well-being due to vulnerability to environmental stimuli, while also functioning as a protective factor that can enhance it through strengths such as aesthetic sensitivity.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d a key cultural difference: ‘relational factors’ have a more decisive impact on the SWB of HSPs in collectivism-oriented South Korea, whereas ‘internal coping methods’ are more critical for their counterparts in Japan, where emotional regulation is highly valued.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directions for future domestic HSP research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sychological support strategies that consid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HSP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한국의 HSP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제언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근로자 소비활성화를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심리사회적 관점의 발견
- 국내 모래놀이치료 질적 연구 동향 분석
- 명상을 활용한 코칭에 대한 코치의 주관성 연구
- 대학생 진로 교육에서의 에니어그램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국내 코칭문화 구축 및 HR(Human Resources)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주관적 행복감의 맥락에서 매우 민감한 사람(HSP)의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집단치료놀이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공격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관생도의 성격 특성과 진로 이탈: 다면적 인성검사 결과를 통한 관계 분석
- 의미코칭 적용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 명상코칭의 개념과 적용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메밀을 활용한 동물교감활동이 치매환자 가족의 행복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긍정심리학과 코칭의 연관성 및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