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진로 교육에서의 에니어그램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63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the Enneagram in Career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저자명
- 장제화
- 간행물 정보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7권 제2호, 101~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대학생의 진로 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 방향성과 진로 교육 프로그램의 실질적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관련 문헌을 대상으로 주제 범위 문헌 고찰(scoping review)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최종 선정된 8편의 문헌은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 교육의 주요 특성, 적용 사례, 효과성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문헌 분석 결과,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진로 정체감, 자기효능감, 진로 성숙도를 향상하는 데 효과적이며, 자기 이해와 진로 방향성 강화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에니어그램과 Holland 직업 흥미 유형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직업 선택과 진로 상담에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특정 지역과 제한된 표집에 초점을 맞춘 한계가 있었으며, 장기적 효과와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을 기반으로 대학생의 자기 이해를 강화하고, 진로 선택 및 개발 과정을 지원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진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중요한 지침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강점과 잠재력을 발휘하여 성공적인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ynthesize and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utilizing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 Test and explore actionabl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The scoping review methodology was applied to examine relevant literature published from 2000 to 2024. Eight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key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and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using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 Test. The analysis revealed that programs employing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 Test effectively bolster career identity,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university students, while also significantly improving self-awareness and career direction. Notab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Enneagram and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ypes demonstrated that this approach provides tangible and actionable support for students’ career choices and counseling. However,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limited by their focus on specific regions and small sample sizes, underscoring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that considers long-term effects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provides critical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ffective career education programs that leverage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 Test to strengthen self-understanding and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and development. Such research contributes to empowering university students to utilize their strengths and potential for successful career plan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근로자 소비활성화를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심리사회적 관점의 발견
- 국내 모래놀이치료 질적 연구 동향 분석
- 명상을 활용한 코칭에 대한 코치의 주관성 연구
- 대학생 진로 교육에서의 에니어그램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국내 코칭문화 구축 및 HR(Human Resources)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주관적 행복감의 맥락에서 매우 민감한 사람(HSP)의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집단치료놀이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공격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관생도의 성격 특성과 진로 이탈: 다면적 인성검사 결과를 통한 관계 분석
- 의미코칭 적용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 명상코칭의 개념과 적용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메밀을 활용한 동물교감활동이 치매환자 가족의 행복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긍정심리학과 코칭의 연관성 및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