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치료놀이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공격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54
- 영문명
- The effects of Group Theraplay on children’s anger expression, aggression, and self-efficacy
- 발행기관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저자명
- 김형신
- 간행물 정보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7권 제2호, 35~5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치료놀이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공격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경기도 소재 D초등학교 4학년 아동 14명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검사 각 1회기와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10회기를 포함하여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26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 비모수 통계 방법(Wilcoxon’s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 .05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집단치료놀이는 아동의 분노표현방식의 하위영역인 분노조절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분노표출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분노억제는 사전보다 사후점수가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집단치료놀이는 아동의 공격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셋째, 집단치료놀이는 아동의 자기효능감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하위영역인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에서도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과제 난이도 선호는 사전보다 사후점수가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집단치료놀이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공격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Theraplay on children’s anger expression styles, aggression, and self-efficacy. Fourteen fourth-grade students from D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 total of 12 sessions were conducted, consisting of one pre-test, one post-test, and ten Group Theraplay session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6, using paired-samples t-tests and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rank test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Results showed that, first, Group Theraplay significantly increased anger control, a sub-domain of anger expression styles,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nger expression. While anger expression scores at the post-test were lower than at the pre-tes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Group Theraplay significantly reduced children’s aggression. Third, Group Theraplay significantly enhanced children’s self-efficacy, showing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ub-domains of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was high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effects of Group Theraplay on children’s anger management and expression patterns, aggression, and self-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근로자 소비활성화를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심리사회적 관점의 발견
- 국내 모래놀이치료 질적 연구 동향 분석
- 명상을 활용한 코칭에 대한 코치의 주관성 연구
- 대학생 진로 교육에서의 에니어그램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국내 코칭문화 구축 및 HR(Human Resources)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주관적 행복감의 맥락에서 매우 민감한 사람(HSP)의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집단치료놀이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공격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관생도의 성격 특성과 진로 이탈: 다면적 인성검사 결과를 통한 관계 분석
- 의미코칭 적용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 명상코칭의 개념과 적용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메밀을 활용한 동물교감활동이 치매환자 가족의 행복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긍정심리학과 코칭의 연관성 및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