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홍난파와 현제명 가곡에 나타난 이은상 시조의 시 형식과 음악 형식의 상관관계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Art Songs by Hong Nan-pa and Hyeon Je-myeong Using Lee Eun-sang's Sijo as Lyrics: Focusing on Poetic and Musical Forms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저자명
김선아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공학』제64호, 157~17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20-30년대 이은상의 시조를 텍스트로 가곡을 작곡한 홍난파와 현제명의 작품을 중심으로, 시조의 형식과 음악적 형식 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한 것이다. 이은상의 근대 시조는 형식적으로는 고시조의 정형률을 따르면서도, 내용 면에서는 서양의 이미지즘에 영향을 받아 현대적인 성격을 지닌다. 한국 가곡이 발생하던 시기, 대표적인 작곡가인 홍난파와 현제명은 이은상의 근대 시조를 텍스트로 선택하였으며, 이때 시조의 형식은 음악의 형식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본 연구는 두 작곡가의 가곡 분석을 통하여 시 형식과 음악 형식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시의 운율과 악구 형식의 관계에 있어 두 작곡가는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악구를 갖는 단순한 구조의 악곡을 작곡하였으나, 악구의 변형, 피아노 반주의 활용 등으로 시의 형식과 음악 형식이 일치하지 않는 곡을 확인하였다. 다음 연시조의 형식과 음악 형식의 관계에서는, 홍난파가 통절형식으로 시조에서 나타나는 심상의 고조를 표현한 반면, 현제명의 경우 유절형식으로 작곡함으로써 연시조의 각 수에서 나타난 내용의 변화를 음악적 변화로 표현하여 작곡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시조의 정형률이 두 작곡가의 음악적 구조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더 나아가 두 작곡가의 음악어법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etic structure of sijo and musical form, focusing on art songs composed by Hong Nan-pa and Hyun Je-myeong using the sijo poems of Lee Eun-sang from the 1920s and 1930s. Lee's modern sijo adheres to the traditional formal rules of classical sijo while incorporating modern sensibilities influenced by Western Imagism.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Korean art song, Hong and Hyun, as representative composers, selected Lee's modern sijo as their textual basis, and the poetic form was closely linked to their musical structur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oetic and musical form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mposers’ art songs. The analysi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ic rhythm and musical phrasing, both composers generally employed simple musical structures with regular phrases. However, deviations in phrasing and the use of expressive piano accompaniment at times created a deliberate mismatch between poetic and musical form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of serial sijo (yeonsijo) and musical form, Hong Nan-pa adopted a through-composed form to express the intensification of poetic imagery, whereas Hyun Je-myeong employed a strophic form to reflect the changes in content across each stanza through musical variat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 how the formal conventions of sijo influenced the structural approach of both composers and further reveal stylistic differences in their respective musical languages.

목차

Ⅰ. 서론
Ⅱ. 홍난파와 현제명의 가곡
Ⅲ. 시 형식과 음악 형식의 상관관계
Ⅳ. 연시조와 음악 형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아. (2025).홍난파와 현제명 가곡에 나타난 이은상 시조의 시 형식과 음악 형식의 상관관계 연구. 음악교육공학, (), 157-178

MLA

김선아. "홍난파와 현제명 가곡에 나타난 이은상 시조의 시 형식과 음악 형식의 상관관계 연구." 음악교육공학, (2025): 157-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