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 전기 조회 궁중음악의 양상 검토: 세종실록(世宗實錄) 소재 아악보(雅樂譜)에 수록된 청황종(淸黃鍾) 악조의 악곡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spects of Early Chosǒn Court Music: Focusing on Chǒnghwangjong-jo (清黃鍾調) Pieces Included in the Aak-bo (雅樂譜) Found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世宗實錄)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정윤희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64호, 127~15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이어지는 한국의 전통음악 가운데 아악의 전승 양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세종 당시 정비된 조회 아악의 내용과 전승 양상에 대한 문헌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조선 전기 조회 아악은 궁중 의례 거행의 목적에 따라 주희(朱熹. 1130~1200)의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 소재 시악(詩樂) 중 소아(小雅) 6편(『세종실록』 권137)을 근간으로 세종조에 정비된 것이 시원이다. 아악식으로 정비된 조회악은 세종조에 편찬된 『아악보』에 수록되어『세종실록』 권136)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되는 점은 세종조에 정비된 조회 아악의 정비 과정과 그 내용, 그리고 전승 양상 등에 대한 이해가 충분치 않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학계에 발표된 조선조 아악에 관한 연구는 제례 아악 분야에 집중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조회 아악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형편이다. 따라서 조선조 아악의 음악적 내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전승 양상에 대한 다각적인 관점에서의 검토는 조회 아악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조회 아악은 『세종실록』 권 136의 ��아악보�� 내용을 근간으로 현재도 연행되고 있으나, 어떠한 이유에서 악곡의 주음이 음원과 『아악보』 수록 조회악과 한 옥타브의 차이가 나는지 명확히 설명된 바가 없다. 이러한 점은 살펴보아야 할 점으로 제기되므로 본 연구자는 세종조 조회 아악이 실려있는 『아악보』를 중심으로 세종조 조회 아악에 대한 문헌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본고에서는 세종『아악보』소재 조회 아악의 구체적 정비 과정과 그 내용, 그리고 전승 양상 등과 관련된 여러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세종 당시 『아악보』에 조회 아악이 수록될 수 있었던 것은 『의례경전통해』 소재 소아 6편의 시악이 고제(古制) 아악의 음악적 특징으로 엄격하게 정비되었음이 구체적으로 재확인되었다. 학계에서는 『아악보』 소재 조회 아악은 『의례경전통해』 시악을 아악 식으로 정비된 음악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는 주로 조회 아악 수록 악보와 『의례경전통해』 시악의 내용 규명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고에서 실시한 사료 중심의 검토를 통해 세종조 조회 아악은 고제의 악리(樂理)를 철저히 적용한 결과였음이 드러났다. 한편, 『홍제전서(弘齊全書)』와 『임하필기(林下筆記)』와 같은 문집의 내용을 통해 『의례경전통해』 시악에 사용된 황종청궁조(黃鍾淸宮調)와 같은 황종궁조(黃鍾宮調)의 음악적 특징인 황종음(c)보다 한 옥타브 높은 청황종(c´) 궁조 계열의 음악이 18세기 조선 사회에 여전히 유래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비록 세종조 조회 아악이 청황종궁조인 중국 연악조의 시악에 근거하였으나, 15세기에 정통 아악 식으로 정비되어 황종(c) 주음(主音)의 기조필곡 특징의 새로운 조선 전기 조회 아악의 전범(典範)을 갖추었다는 점과 대비되는 내용으로 조선 전기 조회 아악의 음악적 정체성이 조선 후기까지 지속된 양상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전거로 활용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ansmission patterns of (雅樂), one of the traditional forms of Korean music still performed today, from multiple perspectives.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the reorganiz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court aak for government operation ceremonies(Chohǒe aak 朝會 雅樂) as it was systematiz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using a textual-historical approach. The aak used in early Joseon morning audience ceremonies was reorganized under King Sejong based on six pieces of “Soa(小雅. Shao Ya)” from the siak(詩樂. shiyue, poetry music) section of Zhu Xi’s(1130–1200) Commentary on the Classic of Rites with Explanations from the Classics and Their Commentaries(儀禮經傳通解). These reorganized pieces were included in the Aak-bo(雅樂譜, Score of aak) compiled during Sejong’s reign and recorded in Volume 136 of the Veritable Records of Sejong(世宗實錄). They have been transmitted to the present day.
What deserves particular attention here is the fact that, compared to the extensive research on ritual aak(cherye aak), studies on the organization and transmission of court aak for audience ceremonies—especially as restructured under King Sejong—are relatively insufficient. While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original music of this aak, as recorded in the aak-bo, is based on six pieces of “Soa” from Zhu Xi’s text, further musical reorganization would have been necessary for their ceremonial use. Therefore, an in-depth examination is needed.
Nevertheless, scholarly work so far has mostly limited itself to analyses based on the preface by Chŏng, Inji in Sejong’s Aak-bo, as well as on comparing two scores: the one in Zhu Xi’s commentary and the Aak-bo versions in the Veritable Records. This paper, therefore, seeks to provide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the reorganization process, content, and transmission of the aak for audience ceremonies as recorded in Sejong’s Aak-bo, by examining additional documentary sources from after Sejong’s time. Notably, since the six Soa music pieces used as the basis for this music are composed in the ch’ǒnghwangjong-gung-jo(淸黃鍾宮調, a specific aak tonal system), the study also explores how this tonal structure was applied and maintained in subsequent periods.
Through this investigation, several meaningful findings emerged. First, the inclusion of court aak for audience ceremonies in Sejong’s Aak-bo was made possible by the fact that the six “Soa” pieces from Zhu Xi’s commentary were reorganized to strictly reflec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aak. These reorganizational details are more clearly revealed through documentary analysis presented in this study.
Scholars have generally understood the court aak in the Aak-bo as a restructured form of Zhu Xi’s siak music into the aak style, and there have been independent studies analyzing both the Aak-bo scores and the original siak content. This researcher confirms, through further source analysis, that Sejong’s court aak reflects the musical principles(akri, 樂理) of ancient systems(koje, 古制) with great fidelity.
Moreover, it was found that musical elements in the Hwangjongcheonggungjo tonal system from Zhu Xi’s siak continued to appear as late as the 18th century. Therefore, although based on tonal structures from siak, the reorganized court aak of Sejong’s era can be seen as an exemplary case that illustrates how traditional music of the 15th century retained the core characteristics of ancient orthodox music(koje), through the detailed process and content of aak reorganization during Sejong’s reign.
목차
Ⅰ. 머리말
Ⅱ. 『세종실록』권 137 『의례경전통해』의 시악 및 『세종실록』권136 『아악보』소재 조회 아악 악보에서의 악조 검토
Ⅲ. 세종조 조회악의 정비 내용과 전승 양상 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감상문 작성을 지원하는 생성형 AI 기반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펠트만과 앤더슨의 이론을 중심으로
- 중등음악교사의 에듀테크 사용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음악교육 실태와 실천 방안
- 조선 전기 조회 궁중음악의 양상 검토: 세종실록(世宗實錄) 소재 아악보(雅樂譜)에 수록된 청황종(淸黃鍾) 악조의 악곡을 중심으로
- AI 발전과정에서 인간다움의 음악교육의 전제: 자연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우간다 예비음악교사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AIM 대학을 중심으로
- 홍난파와 현제명 가곡에 나타난 이은상 시조의 시 형식과 음악 형식의 상관관계 연구
-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음악 창작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