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음악 창작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Study of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AI Music Composition Tool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김경태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64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음악 창작 도구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스크래치(Scratch), 후크띠오리(Hooktheory), 뮤즈스코어(MuseScore)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음악 창작 활동을 체계적으로 설계하였으며, 15주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음악 요소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으며, 창작 과정에 대한 인식이 추상적인 수준에서 더욱 체계적인 접근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음악 창작에 대한 자신감이 증가하였고, 예비 교사로서의 지도 역량이 강화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창작 과정이 음악교육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음악 창작 교육이 이론 중심의 전통적 교수법을 보완할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예비 초등교사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AI music composition tools 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is, a 15-week curriculum was designed, incorporating tools such as Scratch, Hooktheory, and MuseScore to facilitate structured music composition activiti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musical elements improved, and their perception of the composition process shifted from an abstract approach to a more structured methodology. Additionally, confidence in music composition increased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and their instructional competencies as future educators were enhanced. Notably, the use of AI-assisted composition processes contributed to improving accessibility in music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AI-driven music composition education to complement traditional theory-based teaching methods and seeks to provide practical strategies 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ntegrate AI tools effectively in classrooms.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is approach in diverse educational settings and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AI music composition tools. Furthermore, long-term studies are needed to analyze the sustained impact of AI-assisted composition education and to develop concrete instructional models for its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music curricula.
목차
Ⅰ. 서론
Ⅱ. 교육 프로그램 개발
Ⅲ. 연구 방법
Ⅳ. 교육 프로그램 적용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감상문 작성을 지원하는 생성형 AI 기반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펠트만과 앤더슨의 이론을 중심으로
- 중등음악교사의 에듀테크 사용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음악교육 실태와 실천 방안
- 조선 전기 조회 궁중음악의 양상 검토: 세종실록(世宗實錄) 소재 아악보(雅樂譜)에 수록된 청황종(淸黃鍾) 악조의 악곡을 중심으로
- AI 발전과정에서 인간다움의 음악교육의 전제: 자연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우간다 예비음악교사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AIM 대학을 중심으로
- 홍난파와 현제명 가곡에 나타난 이은상 시조의 시 형식과 음악 형식의 상관관계 연구
-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음악 창작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