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음악교육 실태와 실천 방안
이용수 3
-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Practical Strategies of Music Education in Lower Elementary Grades through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Pleasant Life’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박지영 김은주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64호, 81~1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 1~2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에 포함된 음악교육의 실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 중심의 음악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통합교과를 통한 음악교육에 관하여 교과서 내 음악 영역이 주제 중심으로 편성되어 음악적 요소의 체계적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초등 3~4학년 음악과와의 연계성 역시 부족하다는 점이 반복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특히 제재곡 선정 과정에서 학생 발달 수준과 음악적 경험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으며, 악보 표기의 오류, 국악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의 활용 한계, 가창 활동 편중 등도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해 현장 교사들은 음악교육의 독립성 강화, 전문성 있는 수업 운영, 발달 단계에 맞는 다양한 음악 경험 제공, 실질적 수업 지원체계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와 현장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악곡 및 활동의 체계적 재구성, 음악 개념의 명확한 제시, 다양한 음악 장르의 균형 있는 수록, 놀이와 창의적 표현을 포함한 통합적 음악 활동의 확대 등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 연수 및 자료 지원 강화, 정책적 환경 조성 등 현장 실천을 위한 지원 방안도 함께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이 학교 현장에서 의미 있는 음악 경험을 함으로써, 음악 교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실질적 교육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교과 내 음악교육의 본질적 가치 회복과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music education within the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textbook Pleasant Life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propose effective, student-centered strategies for its implementation. Previous research has continuously pointed out that the music component in integrated subjects is organized thematically, lacking systematic instruction in musical elements and alignment with the formal music curriculum of grades 3 and 4. Furthermore, issues have been identified regarding the selection of songs that inadequately reflect students' developmental levels and musical experiences, errors in musical notation, limited use of various genres including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an overemphasis on singing activities. Field teachers have emphasized the need for strengthening the independence of music education, provid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usical experiences, enhancing instructional expertise, and establishing a more robust support system for practical instruction. Based on textbook analysis and classroom cases, this study proposes specific improvements, including a systematic reorganization of songs and activities, clearer presentation of musical concepts, balanced inclusion of diverse musical genres, and expansion of integrated activities involving play and creative expression. It also discusses practical support measures such as enhanced teacher training, resource provision, and policy-level environmental support. Ultimately,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young elementary students can meaningfully engage with music and cultivate musical competenc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proposal for restoring the intrinsic value of music education within integrated curricula and improving its quality.
목차
Ⅰ. 머리말
Ⅱ.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교과서의 음악교육 실태
Ⅲ. 학교 현장에서의 『즐거운 생활』 음악교육 실태
Ⅳ. 『즐거운 생활』에 의한 음악교육 개선을 위한 실천 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감상문 작성을 지원하는 생성형 AI 기반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펠트만과 앤더슨의 이론을 중심으로
- 중등음악교사의 에듀테크 사용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음악교육 실태와 실천 방안
- 조선 전기 조회 궁중음악의 양상 검토: 세종실록(世宗實錄) 소재 아악보(雅樂譜)에 수록된 청황종(淸黃鍾) 악조의 악곡을 중심으로
- AI 발전과정에서 인간다움의 음악교육의 전제: 자연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우간다 예비음악교사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AIM 대학을 중심으로
- 홍난파와 현제명 가곡에 나타난 이은상 시조의 시 형식과 음악 형식의 상관관계 연구
-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음악 창작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