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음악교사의 에듀테크 사용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Secondary Music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duTech Use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심수연 이수진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64호, 43~6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래 교육의 핵심 요소로 주목받는 에듀테크에 대한 중등 음악교사들의 사용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여, 음악교육 현장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등 음악교사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I, 생성형 AI, 온라인 교수학습 활동 지원 플랫폼/도구, 소프트웨어 개발, 디지털 음악콘텐츠 등 다양한 하위 영역에서의 에듀테크 사용 현황과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교사들은 에듀테크를 다양한 수업 활동에 활용하고 있었으며, 관련 연수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에듀테크의 유용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나, 연수 경험 및 근무 지역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특히 생성형 AI 기술의 경우,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유용성과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였으며, 온라인 교수학습 활동 지원 플랫폼/도구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그램에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인식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음악교사들은 에듀테크를 통해 학생들의 음악적 창의성, 정보처리 능력, 소통 역량 등 다양한 핵심 역량을 함양하고자 하는 교육적 목표를 지니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음악교육에서의 에듀테크 활용 실태와 그 인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정책적·실천적 논의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regarding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EduTech), which is increasingly considered a key element in future education. A total of 111 in-service music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investigated their use of EduTech across five subdomains: artificial intelligence (AI), generative AI,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platforms/tools, software development, and digital music content. The findings revealed that music teachers actively utilized various forms of EduTech in their instructional practices and had also engaged in related training. Overall, teachers reported positive perceptions of the usefulness and necessity of EduTech. However, differences in perception emerged based on training experience and geographical work location. Teachers with training experience in generative AI recognized its usefulness and necessity more strongly than those without, whil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erceptions of online teaching tools and software development programs. Furthermore, teachers aimed to foster students’ core competencies—such as musical creativity,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and communication abilities—through the integration of EduTech in music classes. These results provide foundational insights for future policy and practical discussions on EduTech integration in mus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감상문 작성을 지원하는 생성형 AI 기반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펠트만과 앤더슨의 이론을 중심으로
- 중등음악교사의 에듀테크 사용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음악교육 실태와 실천 방안
- 조선 전기 조회 궁중음악의 양상 검토: 세종실록(世宗實錄) 소재 아악보(雅樂譜)에 수록된 청황종(淸黃鍾) 악조의 악곡을 중심으로
- AI 발전과정에서 인간다움의 음악교육의 전제: 자연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우간다 예비음악교사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AIM 대학을 중심으로
- 홍난파와 현제명 가곡에 나타난 이은상 시조의 시 형식과 음악 형식의 상관관계 연구
-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음악 창작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