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취업모의 일-가정양립 갈등 과 부모역할 만족도의 관계: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15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among Working Mothers of Dual-Income Familie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발행기관
한국학부모학회
저자명
김연숙 류진아
간행물 정보
『학부모연구』제12권 제3호, 105~1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취업모의 일-가정양립 갈등이 부모 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효능감이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2학년 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 취업모 3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정 양립 갈등은 양육효능감 및 부모 역할 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효능감과 부모 역할 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일-가정 양립 갈등과 부모 역할 만족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양육 효능감의 두 가지 하위 요인인 양육 자신감과 양육 어려움 모두 일-가정 양립 갈등과 부모 역할 만족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 경감 및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부모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자료 개발과 보급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초등 저학년 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 취업모의 양육 조력 환경 조성을 위한 지역, 회사, 교육기관 등 사회적 논의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roles of parenting efficacy o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among working mothers of dual-income families with children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on th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among working mothers of dual-income families with children in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included 320 working mothers from dual-income families raising a child in the first or second grade in elementary school around the nation. The study employed the following instruments to measure the variables: work-family conflict was measured with the Work-Family Conflict Scale developed by Carlson, Kacmar, and Williams (2000) and revised, translated, and validated by Kim Su-jeong (2015); parenting efficacy was measured with the Perceive Parenting Competence (PPC) scale developed by Floyd, Gilliom, and Costigan (1998) and revised and validated by Ahn Ji-yeong (2001);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was measured with the Cleminshaws-Guidubaldi Parent Satisfaction Scale (CGPSS) developed by Cleminshaws and Guidubaldi (1985) and revised and validated by Hyeon On-kang and Jo Bok-hee (1994). The study treated the data statistically with the IBM SPSS Statistics 28.

목차

Ⅰ.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연숙,류진아. (2025).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취업모의 일-가정양립 갈등 과 부모역할 만족도의 관계: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학부모연구, 12 (3), 105-131

MLA

김연숙,류진아.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취업모의 일-가정양립 갈등 과 부모역할 만족도의 관계: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학부모연구, 12.3(2025): 105-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