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늘봄학교 운영체제에 대한 참여자의 경험 분석

이용수  20

영문명
Analysis of Participants' Experience with the Neulbeom Schools Operating System
발행기관
한국학부모학회
저자명
김은정
간행물 정보
『학부모연구』제12권 제3호, 133~15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늘봄학교를 구성하고 실행하는 데 관여하는 주요 참여자(운영자, 강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늘봄학교 실행과 의미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지역의 늘봄학교에서 근무하는 운영자 4인, 프로그램 강사 3인 및 학부모 2인이다. 늘봄학교에서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늘봄학교 운영체제와 근무여건’, ‘늘봄학교 돌봄과 교육의 질’, ‘늘봄학교 실행과정에서 드러나는 한계’에 대한 3가지 주제가 나타났으며, 각 주제에 따라 총 11가지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력 운영 체계에서 비합리성과 역할 불균형이 드러났다. 둘째, 늘봄학교에서 학부모가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교육보다 돌봄과 양육이다. 셋째, 늘봄학교와 초등학교와의 업무 분장 및 행정적 책임구조가 불명확하다. 결론에 기반하여 전문성 기반 인력 양성체계 구축, 운영 매뉴얼 및 신청 규정 정비, 제도적 독립성 확보, 행정구조 제설계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implementation and meaning of Neulbeom Schools, as experienced by key stakeholders—administrators, instructors, and parents—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Participants included four administrators working at Neulbeom School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and Chungcheongnam-do, three program instructors, and two parents. The analysis yielded three central themes: the operating system and working conditions of Neulbeom Schools, the quality of care and education provided, and the limits and tensions surrounding the acceptance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A total of eleven subthemes were identified across these categories.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rrationalities and imbalances in role allocation were identified withi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Second, parents tended to expect care and child-rearing support from Neulbeom Schools rather than focusing on their educational function. Third, the division of roles and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between Neulbeom Schools and elementary schools was found to be ambiguous. In light of these conclusions, several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human resource training system, the revision of operational manuals and support regulations, the securing of institutional independence, the redesign of administrative structures, and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목차

Ⅰ. 서 론
II. 늘봄학교 운영체제
Ⅲ. 연구방법
Ⅳ. 늘봄학교 운영체제에 대한 참여자의 경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정. (2025).늘봄학교 운영체제에 대한 참여자의 경험 분석. 학부모연구, 12 (3), 133-159

MLA

김은정. "늘봄학교 운영체제에 대한 참여자의 경험 분석." 학부모연구, 12.3(2025): 133-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