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량 중심 영유아 학부모교육을 위한 학부모 및 교사 요구도 분석 연구

이용수  15

영문명
Needs analysis of parents and teachers for competency-based paren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발행기관
한국학부모학회
저자명
김은영 박하연 서상희
간행물 정보
『학부모연구』제12권 제3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역량 중심 영유아 학부모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학부모와 교사가 인식하는 학부모 역량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개발된 학부모 역량체계를 바탕으로 영아 학부모 100명, 유아 학부모 100명, 영유아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역량 보유도 및 필요도를 조사하고 Borich 요구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 학부모는 학교협력, 자기돌봄, 자녀자립지원, 부모역할기본, 자녀교육 순으로 역량군 요구도를 나타냈으며, 교육과정 이해, 교육변화 이해, 건강관리 등의 하위역량에 대한 요구가 높게 보고되었다. 유아 학부모는 학교협력, 자녀자립지원, 부모역할기본, 자녀교육, 자기돌봄 순으로 역량군 요구도를 보였으며, 하위역량으로 교육과정 이해, 지역사회 자원 활용, 안전한 디지털 활용 지도 등에 대한 요구가 두드러졌다. 영유아 교사는 자녀자립지원, 부모역할기본, 자녀교육, 자녀돌봄, 학교협력 순으로 역량군 요구도를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발달단계 특성 이해, 생활지도 및 문제행동 대처, 교육관 조정 및 적용 등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기의 발달단계에 따라 맞춤형 학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이 시기 학부모교육은 단순한 부모역할 안내를 넘어서 교육과정과 정책에 대한 이해, 자녀의 궁극적인 자립을 지원하는 역량을 함께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rection of competency-based paren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examining the perceived competency needs of parent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a previously developed competency framework, surveys were conducted with 100 parents of infants, 100 parents of preschoolers, and 50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Borich Needs Assessment was used for analysis. Infant parents prioritized the competency domains of school collaboration, self-care, support for child independence, basic parenting, and child education, reporting high needs for sub-competencies such as curriculum understanding, adapting to educational changes, and health management. Preschooler parents prioritized school collaboration, support for child independence, basic parenting, child education, and self-care, with notable needs for sub-competencies such as curriculum understanding, community resource use, and safe digital guidance. Teachers prioritized support for child independence, basic parenting, child education, childcare, and school collaboration, with strong needs for sub-competencies including understand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managing daily routines and behavioral issues, and adjusting and applying educational belief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parent education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stages. Such education should move beyond basic parenting guidance to strengthen both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a and educational policies, as well as the competencies that support children’s ultimate independence.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영,박하연,서상희. (2025).역량 중심 영유아 학부모교육을 위한 학부모 및 교사 요구도 분석 연구. 학부모연구, 12 (3), 1-25

MLA

김은영,박하연,서상희. "역량 중심 영유아 학부모교육을 위한 학부모 및 교사 요구도 분석 연구." 학부모연구, 12.3(2025):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