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부모가 인식하는 현재 역량과 기대 역량 간 비교 분석

이용수  12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Gap Between Parents’ Current and Expected Competencies
발행기관
한국학부모학회
저자명
김경원 구성우
간행물 정보
『학부모연구』제12권 제3호, 27~5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가 인식하는 우리나라 학부모의 현재 평균적 역량과 미래에 기대하는 학부모 역량 간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정, 학교, 지역사회와 관련된 학부모 역할을 선정하고, ‘학부모 자기 이해’, ‘가정 내 자녀 교육’, ‘학교 협력’, ‘지역사회 기여’의 네 가지 역량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는 Borich 방식을 활용하여 인식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FGI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모 자기 이해 영역에서는 부모됨의 인식과 수용 및 자기 성찰 계발에서 인식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가정 내 자녀 교육 영역에서는 자발적 학습 지원과 의사소통 및 자녀 권리 존중에서 인식 차이가 두드러졌다. 학교 협력 영역에서는 교육정책 및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인식 수준 차이가 컸고, 지역사회 기여 영역에서는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자녀 역할 지도와 지역사회와의 협력적 관계 조성에서 큰 인식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학부모 역량 강화 교육과 관련해서 학부모의 인식 격차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학부모 교육 및 역량 강화와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examine Korean parents’ perceived gaps between current and ideal parental competencies. Drawing on previous research, we identified four domains of parental competency: self-understanding, home-based education, school collaboration, and community involvement. We derived nineteen specific competency indicatros and collected data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follow-up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 employed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to assess discrepancies between current perceptions and future expectations. The findings revealed perception gaps across all domains. Parents reported notable gaps in self-recognition reflection, support for students’ autonomous learning, communication respecting children's rights, understanding educational policies, and fostering cooperation with the community.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targeted parental education to bridge perception gaps and strengthen parental competenci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d policy implications emphasizing that futur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alignment with the specific competency needs and expectations identified by par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원,구성우. (2025).학부모가 인식하는 현재 역량과 기대 역량 간 비교 분석. 학부모연구, 12 (3), 27-53

MLA

김경원,구성우. "학부모가 인식하는 현재 역량과 기대 역량 간 비교 분석." 학부모연구, 12.3(2025): 27-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