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 울산, 경남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tudy on the Changes in Vascular Plant Flora of Forest Wetland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7권 제2호, 187~21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경남 내에 분포하는 산림습원 22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2015년부터 2022년까지의 관속식물상의 변화를분석하여 기후변화에 취약한 산림습원의 보전대책 수립, 산림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산, 울산, 경남 내에 분포하는 산림습원은 2015년 조사 시 91과 206속 284종 9아종 21변종 4품종 31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출현빈도가 가장 많은 식물은 골풀로 22개소 중 15개소에서 출현하여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2차 조사가 시행되었던연도에 따라 Group Ⅰ(2020년), Group Ⅱ2021년), Group Ⅲ(2022년)로 나누어 관속식물상을 비교한 결과, Group Ⅰ에서는특별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Group Ⅱ에서는 총46분류군이 감소하였다. 반면 Group Ⅲ에서는 총 79분류군이 증가한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노각나무, 벌개미취, 병꽃나무로 총 3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EN등급 가시오갈피및 자주땅귀개, NT등급 큰방울새란이 확인되었다. 또한 2022년 Group Ⅲ에서는 VU등급인 통발과 큰방울새란이 새롭게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8과 51속 54종 2변종 5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침입외래식물은 총 9과 13속 13종1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습지선호도에 따른 식물을 집계한 결과, 대부분 절대육상식물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습원면적 또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산림습원의 육화와 소실에 대비할 수 있도록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등을통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the vascular plant flora across 22 forest wetlands located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between 2015 and 2022. The objective i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conservation strategies for forest wetland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and to enhance forest biodiversity. In the initial 2015 survey, the study sites were found to host a total of 318 vascular plant taxa, including 91 families, 206 genera, 284 species, 9 subspecies, 21 varieties, and 4 form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species was Juncus decipiens, identified at 15 of the 22 sites. The sit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year of subsequent surveys: Group Ⅰ(2020), Group Ⅱ(2021), and Group Ⅲ(2022). Group Ⅰ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flora, while Group Ⅱ exhibited a decrease of 46 taxa. In contrast, Group Ⅲ recorded an increase of 79 taxa. Three endemic species Stewartia koreana, Aster koraiensis, and Weigela subsessilis were observed. In addition, rare specie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were identified: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Utricularia uliginosa (EN), and Pogonia japonica (NT). In 2022 (Group Ⅲ), Utricularia japonica (VU) and Pogonia japonica were newly recorded. The summary of plants according to wetland preference indicated an increase in Obligate upland plant, along with a reduction in wetland area. Therefore, systematic management, such as the designation of forest genetic resource protected area,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terrestrialization and loss of forest wetland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시공간 분포 및 상관성 분석
- 한국산 큰산개구리(Rana uenoi)와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의 중금속 생물축적 비교
- Baseflow Recession and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in Pyungchang River Basin
- 염생식물 갯질경(Limonium tetragonum)종자발아 조건 및 생장에 관한 연구
-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연중 저수율 변화에 따른 실제 수표면적으로 산출한 CH₄ 배출량 비교
- 부산, 울산, 경남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 연구
- 철도 교량 강우유출수를 대상으로 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성능평가
- 낙동강 유역의 일 유출량에 대한 적정 확률분포형 선정
- 미세기포의 식물재배활용 효과_리뷰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페로 몰리브덴 공정 배출 SOx 처리
- 습지 생태계서비스를 고려한 습지등급평가
-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using Blue-Green Infrastructure: A Review of Flood Mitigation, Heat Reduction, and Water Quality Enhancement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SNF 심지층 처분장 내 반응성 가스-지하수-벤토나이트 시스템의 장기적 지화학 반응 모델링
- 독일의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지층 처분 시스템 수리지질학적 규제체계 분석
- Brissopsis pohangensis sp. nov., a New Echinoid Species (Spatangoida) from the Middle Miocene Duho Formation, Pohang Basin, Kore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