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산 큰산개구리(Rana uenoi)와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의 중금속 생물축적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Comparison of heavy metal bioaccumulation in Korean Rana uenoi and Pelophylax nigromaculatus
발행기관
한국습지학회
저자명
강진욱 이대균 이상철 심민석 배양섭
간행물 정보
『한국습지학회지』제27권 제2호, 166~177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큰산개구리(Rana uenoi)와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의 간(liver)과 신장(kidney) 조직 내 중금속축적 특성을 비교하고, SVL(Snout-Vent Length), 체중(Weight), 성별(Sex) 등의 생리적 요인 및 지역, 토양 중금속 농도등이 중금속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두 종의 총 40개체를, 강릉, 영월, 원주, 제주 등 네 지역에서포획하였으며, 장기 내 중금속 농도를 분석하고, 생물축적계수(bioaccumulation factor, BAF)를 산출하였다. 통계적 분석과함께 랜덤 포레스트 분석을 적용하여 주요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큰산개구리는 간에서 구리와 카드뮴, 신장에서카드뮴과 납의 축적이 두드러졌으며, 토양 중금속 농도가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참개구리는 아연과 비소를 포함한다양한 금속에서 고른 축적 경향을 보였고, SVL과 체중 등 생리적 요인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BAF 분석에서는 두 종간 조직별로 상이한 축적 특성이 확인되었으며, 간과 신장에서 모두 종별, 지역별 차이가 뚜렷하였다. 수질 분석에서는 아연을제외한 모든 중금속이 불검출(Not Detected, N.D)되어 분석에서 제외되었고, 이 결과는 중금속 축적에 있어 수생환경보다는토양 조건과 개체 특성이 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양서류를 활용한 종별 축적 특성및 서식지 기반 환경 요인 분석을 통해, 향후 국지적 서식지 환경 내 중금속 위해성 평가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the accumula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the liver and kidney tissues of two frog species, Rana uenoi and Pelophylax nigromaculatus, and quantitatively evaluates the influence of physiological factors—snout-vent length (SVL), body weight, and sex—as well as regional and soil metal concentrations. A total of 40 individuals (20 per species) were collected from four regions in South Korea: Gangneung, Yeongwol, Wonju,and Jeju.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issues were analyzed, and bioaccumulation factor (BAF) were calculated. In addition to statistical analyses, random forest regression was employed to identify key influencing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Rana uenoi exhibited pronounced accumulation of copper and cadmium in the liver and cadmium and lead in the kidney, with soil metal concentrations showing a major influence. In contrast, Pelophylax nigromaculatus showed relatively uniform accumulation patterns across various metals, including zinc and arsenic, and was more strongly influenced by physiological traits such as SVL and body weight. BAF analysis revealed species-specific and organ-specific accumulation patterns, showing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and regions in both the liver and kidney. Water quality analysis revealed that all metals except zinc were not detected (N.D.) and were therefo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is result suggests that, in terms of metal accumulation, soil conditions and individual traits may have played a more influential role than the aquatic environment.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site-specific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s of heavy metals using amphibian bioindicators.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진욱,이대균,이상철,심민석,배양섭. (2025).한국산 큰산개구리(Rana uenoi)와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의 중금속 생물축적 비교. 한국습지학회지, 27 (2), 166-177

MLA

강진욱,이대균,이상철,심민석,배양섭. "한국산 큰산개구리(Rana uenoi)와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의 중금속 생물축적 비교." 한국습지학회지, 27.2(2025): 166-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