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염생식물 갯질경(Limonium tetragonum)종자발아 조건 및 생장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Seed Germination Conditions and Growth of the Halophyte Limonium tetragonum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유재권 김형섭 오정규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7권 제2호, 137~14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곰소만 간척지에 자생하는 염생식물 갯질경(Limonium tetragonum)의 안정적인 재배 및 생산을 위한 것이다.
이는 대량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Limonium tetragonum 종자의 최적 발아온도는 25℃에서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며 최종 발아율은 91.67%였다. 염분의 발아율은 0psu 담수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며, 염분이 증가할수록발아율은 감소하였다. 광도별 실험에서 암처리(0μE/㎡/sec)에서 발아율은 0psu 수준에서 95.00%, 5psu 수준에서 88.33%였다.
암처리를 한 0psu, 5psu 배지에서는 88%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200μE/㎡/sec 수준의 Limonium tetragonum의발아율은 0psu 수준에서 61.67%, 5psu 수준에서 48.33%로 감소했다. 또한 4종류의 배지를 사용하여 생장률과 습중량을파악한 결과 M/S배지에서 가장 잘 자라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Limonium tetragonum이 야간에도 성장하며, 너무 높은 광도에서는 성장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최적온도 25℃, 염농도 0psu, 밝기(0μE/㎡/sec~100μE/㎡/sec) 사이의 발아조건을 통해 지상에서 재배할 경우 안정적인 발아 및 생장이 가능하며, 대량재배가가능하다. 염습지 및 매립지의 복원 및 제염기간 단축 및 항산화제 획득을 위한 선구수종에 적합한 식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pport the stable cultivation and large-scale production of Limonium tetragonum, a halophyte native to the reclaimed land of Gomso Bay. The research ai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facilitate mass cultivation. The optimum germination temperature for Limonium tetragonum seed was 25℃, resulting in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91.67%.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st at 0psu(freshwater condition) and declined progressively with increasing salinity.
In light intensity experiments, the seed showed a germination rate of 95.00% at 0psu and 88.33% at 5psu under total darkness(0μE/㎡/sec). However, the germination rate of Limonium tetragonum at the 200μE/㎡/sec under decreased to 61.67% at the 0psu under and 48.33% at the 5psu under. In addition, when the Average length and wet weight were determined using four types of culture, it was observed that the best growth occurred in M/S cultur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Limonium tetragonum is capable of growing under dark conditions, while excessive light intensity inhibits its growth.
This species is deemed suitable for restoring salt marshes and reclaimed lands, shortening decontamination periods, and producing antioxidants.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및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시공간 분포 및 상관성 분석
- 한국산 큰산개구리(Rana uenoi)와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의 중금속 생물축적 비교
- Baseflow Recession and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in Pyungchang River Basin
- 염생식물 갯질경(Limonium tetragonum)종자발아 조건 및 생장에 관한 연구
-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연중 저수율 변화에 따른 실제 수표면적으로 산출한 CH₄ 배출량 비교
- 부산, 울산, 경남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 연구
- 철도 교량 강우유출수를 대상으로 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성능평가
- 낙동강 유역의 일 유출량에 대한 적정 확률분포형 선정
- 미세기포의 식물재배활용 효과_리뷰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페로 몰리브덴 공정 배출 SOx 처리
- 습지 생태계서비스를 고려한 습지등급평가
-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using Blue-Green Infrastructure: A Review of Flood Mitigation, Heat Reduction, and Water Quality Enhancement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SNF 심지층 처분장 내 반응성 가스-지하수-벤토나이트 시스템의 장기적 지화학 반응 모델링
- 독일의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지층 처분 시스템 수리지질학적 규제체계 분석
- Brissopsis pohangensis sp. nov., a New Echinoid Species (Spatangoida) from the Middle Miocene Duho Formation, Pohang Basin, Kore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