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연중 저수율 변화에 따른 실제 수표면적으로 산출한 CH₄ 배출량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CH₄ Emissions Based on Actual Water Surface Area Reflecting Seasonal Water Level Fluctuations in Agricultural Reservoir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지달님 남귀숙 이동근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7권 제2호, 178~18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저수지의 온실가스(GHG) 배출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은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NIR) 작성에 있어 필수적인요소이다. 그러나 현재 NIR에서 사용되는 산정법은 농업용수 수요에 따른 계절적 수위 변동을 반영하지 못하고, 만수위기준의 지적 통계상 면적 자료에 의존하고 있어 실제 배출량과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의 실제 수표면적을 기반으로월별 메탄(CH4) 배출량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저수지를 형태지수를 이용해 분류하고, 저수율 변화에 따른 수표면적의변동 양상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얕은 저수지는 깊은 저수지에 비해 저수율 변화에 따른 수표면적의 변동성이 크게나타났으며, 이를 국내 농업용 저수지에 적용한 결과, 실제 메탄 배출량은 기존 NIR 보고치보다 약 2,999.12tCO2-eq(7.37%)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NIR 산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저수율 변화에 따른 수표면적 반영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Accurately estimating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rom reservoirs is essential for the compilation of the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NIR). However, the current estimation methodology used in the NIR relies on cadastral statistics based on full water level conditions, which do not account for seasonal fluctuations in water levels caused by agricultural water demand. As a result, discrepancies may arise between eported and actual emissions.
This study analyzes monthly methane(CH4) emissions from reservoirs based on their actual water surface area.
To estimate surface area variations corresponding to storage rates, domestic reservoirs were classified using shape indi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shallow reservoirs exhibit greater variability in surface area with changes in water storage compared to deep reservoirs. When this approach was applied to agricultural reservoirs in Korea, the actual methane emissions were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999.12tCO2-eq(7.37%) lower than those reported in the NI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corporating water surface area changes due to reservoir storage variations is critical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GHG estimations in national inventories.
목차
1. 서 론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연구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시공간 분포 및 상관성 분석
- 한국산 큰산개구리(Rana uenoi)와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의 중금속 생물축적 비교
- Baseflow Recession and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in Pyungchang River Basin
- 염생식물 갯질경(Limonium tetragonum)종자발아 조건 및 생장에 관한 연구
-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연중 저수율 변화에 따른 실제 수표면적으로 산출한 CH₄ 배출량 비교
- 부산, 울산, 경남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 연구
- 철도 교량 강우유출수를 대상으로 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성능평가
- 낙동강 유역의 일 유출량에 대한 적정 확률분포형 선정
- 미세기포의 식물재배활용 효과_리뷰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페로 몰리브덴 공정 배출 SOx 처리
- 습지 생태계서비스를 고려한 습지등급평가
-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using Blue-Green Infrastructure: A Review of Flood Mitigation, Heat Reduction, and Water Quality Enhancement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SNF 심지층 처분장 내 반응성 가스-지하수-벤토나이트 시스템의 장기적 지화학 반응 모델링
- 독일의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지층 처분 시스템 수리지질학적 규제체계 분석
- Brissopsis pohangensis sp. nov., a New Echinoid Species (Spatangoida) from the Middle Miocene Duho Formation, Pohang Basin, Kore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