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시공간 분포 및 상관성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for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between clay content and total organic carbon in unvegetated tidal flats of Suncheon Bay
발행기관
한국습지학회
저자명
서인순 박종남 조상근 박형은 강동환
간행물 정보
『한국습지학회지』제27권 제2호, 123~128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 4년(2020~2023년) 동안 조사된 퇴적물의 입도와 총유기탄소의 시공간 분포와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순천만 갯벌 내 7개 지역의 3개 지점(조간대 상부, 조간대 중부, 조간대 하부)에서 퇴적물의 입도와총유기탄소를 분석하였다. 점토 함량은 조간대 상부에서 높고 총유기탄소는 조간대 하부에서 높았다. 조간대 중부에서는점토 함량의 편차는 높고 총유기탄소의 편차는 낮았으며, 이는 조간대 중부에서 육성과 해성 기원 퇴적물의 혼합에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는 점토 함량이 많아질수록 총유기탄소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기존의연구 결과에서도 동일하였다. 조간대 상부와 하부에서는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상관계수가 0.45 이상으로 높았으며, 조간대 중부에서는 상관계수가 0.20 정도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는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공간적인 불균질성은 높고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상관성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of soil particle size and total organic carbon in sediment investigated for four years (2020~2023) in the unvegetated tidal flats of Suncheon Bay. The soil particle size and total organic carbon in sediment were analyzed at three points (upper intertidal zone, central intertidal zone, and lower intertidal zone) in seven areas in Suncheon Bay. The clay content was high in the upper intertidal zone, and the total organic carbon was high in the lower intertidal zone. In the central intertidal zone, the standard deviation in clay content was high and the standard deviation in total organic carbon was low, which is thought to be due to the mixing of terrestrial and marine sediments in the intertidal zone. In the unvegetated tidal flats of Suncheon Bay, the total organic carbon increased as the clay content increased, which was the same a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lay content and total organic carbon was over 0.45 in the upper and lower intertidal zones, and about 0.20 in the central intertidal zone. This study found that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clay content and total organic carbon was high a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clay content and total organic carbon was high in the non-vegetated tidal flats of Suncheon Bay.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인순,박종남,조상근,박형은,강동환. (2025).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시공간 분포 및 상관성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27 (2), 123-128

MLA

서인순,박종남,조상근,박형은,강동환.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시공간 분포 및 상관성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27.2(2025): 123-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