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시공간 분포 및 상관성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for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between clay content and total organic carbon in unvegetated tidal flats of Suncheon Bay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서인순 박종남 조상근 박형은 강동환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7권 제2호, 123~12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 4년(2020~2023년) 동안 조사된 퇴적물의 입도와 총유기탄소의 시공간 분포와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순천만 갯벌 내 7개 지역의 3개 지점(조간대 상부, 조간대 중부, 조간대 하부)에서 퇴적물의 입도와총유기탄소를 분석하였다. 점토 함량은 조간대 상부에서 높고 총유기탄소는 조간대 하부에서 높았다. 조간대 중부에서는점토 함량의 편차는 높고 총유기탄소의 편차는 낮았으며, 이는 조간대 중부에서 육성과 해성 기원 퇴적물의 혼합에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는 점토 함량이 많아질수록 총유기탄소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기존의연구 결과에서도 동일하였다. 조간대 상부와 하부에서는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상관계수가 0.45 이상으로 높았으며, 조간대 중부에서는 상관계수가 0.20 정도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는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공간적인 불균질성은 높고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상관성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of soil particle size and total organic carbon in sediment investigated for four years (2020~2023) in the unvegetated tidal flats of Suncheon Bay. The soil particle size and total organic carbon in sediment were analyzed at three points (upper intertidal zone, central intertidal zone, and lower intertidal zone) in seven areas in Suncheon Bay. The clay content was high in the upper intertidal zone, and the total organic carbon was high in the lower intertidal zone. In the central intertidal zone, the standard deviation in clay content was high and the standard deviation in total organic carbon was low, which is thought to be due to the mixing of terrestrial and marine sediments in the intertidal zone. In the unvegetated tidal flats of Suncheon Bay, the total organic carbon increased as the clay content increased, which was the same a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lay content and total organic carbon was over 0.45 in the upper and lower intertidal zones, and about 0.20 in the central intertidal zone. This study found that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clay content and total organic carbon was high a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clay content and total organic carbon was high in the non-vegetated tidal flats of Suncheon Bay.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시공간 분포 및 상관성 분석
- 한국산 큰산개구리(Rana uenoi)와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의 중금속 생물축적 비교
- Baseflow Recession and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in Pyungchang River Basin
- 염생식물 갯질경(Limonium tetragonum)종자발아 조건 및 생장에 관한 연구
-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연중 저수율 변화에 따른 실제 수표면적으로 산출한 CH₄ 배출량 비교
- 부산, 울산, 경남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 연구
- 철도 교량 강우유출수를 대상으로 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성능평가
- 낙동강 유역의 일 유출량에 대한 적정 확률분포형 선정
- 미세기포의 식물재배활용 효과_리뷰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페로 몰리브덴 공정 배출 SOx 처리
- 습지 생태계서비스를 고려한 습지등급평가
-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using Blue-Green Infrastructure: A Review of Flood Mitigation, Heat Reduction, and Water Quality Enhancement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순천만 비식생 갯벌에서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의 시공간 분포 및 상관성 분석
- 한국산 큰산개구리(Rana uenoi)와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의 중금속 생물축적 비교
- Baseflow Recession and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in Pyungchang River Basi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