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혼합형 생존 수영 교육모델을 적용한 대학 교양 수영 수업의 학습 성과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Blended Survival Swimming Education Model Combining Online Learning and Offline Practice: Application and Analysis of Learning Outcomes in University General Swimming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훈
- 간행물 정보
- 『비교과교육연구』제6권 제1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실습을 결합한 혼합형 생존 수영 교육 모델을 대학교 교양 수영 수업에 적용하고, 학습자들의 학습 성과와 대학교 교양 수영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A대학교의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한 18명의 학생들로 총 16주에 걸쳐 진행되었다. 혼합형 생존 수영 교육은 일반 수영 및 생존 수영에 대한 이론적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실습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혼합형 학습 모델은 자발적인 참여를 효과적으로 촉진하고 협력 학습을 강화하며 학습 성과와 성취감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온라인 이론 수업을 통해 생존 수영의 원리와 관련 영법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하였다. 혼합형 학습 모델은 자기 주도 학습 경험을 촉진하여 학생들이 실질적이고 자발적으로 학습 성취를 얻는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과교육 연구와 관련된 것으로 혼합형 실습 체육 교육의 모델을 일반 체육 과목에도 적용하는 것을 제시하며, 유사한 교육 맥락에서 혼합 학습 모델의 추가 적용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blended survival swimming education model, combining online learning and offline practice, on students' learning outcomes and participation in university general swimming class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16 weeks with students enrolled in a general physical education course at University A in Gyeonggi Province. The blended approach involved theoretical online learning about survival swimming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offline practice ses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blended learning model effectively promotes voluntary participation, enhances collaborative learning, and significantly improves learning outcomes and sense of achievement. Students were able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survival swimming through online theory lessons and strengthen their practical skills, particularly in survival strokes like treading water and floating. The blended learning model facilitated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allowing students to gain practical and meaningful achievement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survival swimming education into general physical education courses and suggests further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 models in similar educational contex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