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 시지각 발달의 결정적 시기와 미술교육의 역할: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현황과 과제
이용수 19
- 영문명
- Critical Periods in Children's Visual Perceptual Development and the Role of Art Education: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Pleasant Life’ in Integrated Subjects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공완욱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81집,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 시지각 발달의 결정적 시기인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미술교육의 역할을 탐구하고,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에서의 미술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 연구를 통해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결정적 시기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현행 '즐거운 생활' 교과의 교육과정, 교과서, 지도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만 6-8세)는 시지각 발달의 결정적 시기로, 이 시기의 미술교육은 시각적 식별 능력, 시각-운동 협응, 공간 지각 능력, 시각적 기억력, 시각적 사고력 등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행 '즐거운 생활' 교과에서의 미술교육은 주제 중심 통합으로 인해 미술교육의 내용 위계가 간과되고, 시지각 발달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내용이 부족하여 시지각 발달의 다양한 측면을 균형 있게 발달시키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시지각 발달의 결정적 시기를 고려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미술교육의 독자적 영역 강화와 통합적 접근의 균형 유지, 아동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미술 활동과 교수 방법 도입 등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미술교육이 아동의 시지각 발달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ole of art education during the lower elementary school years, a crucial period for children's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rt education within the integrated curriculum ‘Pleasant Life’, while suggesting ways to improve i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we examined theories on children's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critical periods, and analyzed the current curriculum, textbook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used in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lower elementary school years(ages 6-8) are a critical period for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that art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visual discrimination, visual-motor coordination, spatial perception, visual memory, and visual thinking. However, current art education within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faces limitations due to its thematic integration approach, which overlook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art education content. Additionally, the lack of systematic instructional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hinders the balanced cultivation of its various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developing curricula and textbooks that account for the critical period of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balancing the integrated approach with a stronger focus on independent areas of art education, and introducing diverse art activities and teaching methods suited to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목차
Ⅰ. 서 론
Ⅱ. 아동 시지각 발달과 미술교육
Ⅲ.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에서 아동 시지각 발달을 위한 미술교육 현황 분석
Ⅳ. ‘즐거운 생활’ 교과 내 미술교육의 개선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 시지각 발달의 결정적 시기와 미술교육의 역할: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현황과 과제
- 미술 창작 수업에서 인공지능 활용 양상 분석과 미래 교육 과제
- 캐릭터를 통한 입체조형 교육 -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 인공지능과 미술교육 -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교육내용 탐색
- 즐겁지만 충분한가? ‘즐거운 생활’ 교과서에 나타난 미술교육의 현주소
- 학교 미술교육에서 인공지능(AI) 활용의 교육적 의미와 미래 방향성: 해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 사례 연구: 연극·국악 전공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에서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예비 교원의 성찰과 메타인지 발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a Digital Textbook on Plant Transpiration Using Pages for High School Students
-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Scientific Models from a Resource Perspective: Analyzing the Overlapping Structure of ERM and PRT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with a Generative AI for ‘Exploration and Design of Career and Job’ Lesson at Vocational High Schoo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