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즐겁지만 충분한가? ‘즐거운 생활’ 교과서에 나타난 미술교육의 현주소
이용수 18
- 영문명
- Is It Joyful but Sufficient? The Current Status of Art Education in the ‘Pleasant Life’Textbook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81집, 203~23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구성된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교과서에 나타난 미술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미술교육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2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과서의 내용을 살펴보되, 미술과 활동 내용이 반영된 단원을 중심으로 교과서를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 활동 구성의 특성과 그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는 한편, 조형언어 습득, 매체 활용, 시각문화 이해 측면에서의 한계를 도출하였다. 현행 통합교과 체제에서 미술 교육은 활동 중심의 접근에 치중되어 있으며, 이는 창의적 표현 경험을 제공하는 반면, 기초적 미술 개념 및 시각문화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제한적인 재료와 활동 구성은 학생들의 표현력과 창의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으며, 교사의 미술교육 전문성 부족은 통합교과 내 미술 교육의 질적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 교과의 독립적 운영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조형언어 기초 교육의 체계적 실시, 다양한 매체와 기법 학습 기회의 확대, 시각문화 감상 및 비평 교육의 강화, 교사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미술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교육적 접근은 통합교과에서의 활동 중심 수업을 넘어, 미술 언어의 기초적 개념과 다양한 매체 활용 능력을 심도 있게 함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시각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미술 교과의 독립적 운영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구체적인 교육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art education in the textbook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hich was newly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o critically examine it from an art pedagogical point of view. The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textbook were reviewed and analyzed, focusing on units reflecting art curriculum activities. Through this, while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lass activities and their educational significance, limitations in terms of acquiring formative language, using medium, and understanding visual culture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leasant Life' textbook induces children's interest and participation by emphasizing play-oriented autonomous expression activities, but the framework of the content were insufficient to fully realize the essential goal of art educa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expression activities were abundant, but basic formative education was insufficient, and the use of multiple medium and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also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art subject, which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art education by systematically implementing basic formative language education, expanding opportunities for learning various media and techniques, strengthening visual culture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and introducing programs to improve teacher expertise.
목차
Ⅰ. 서 론
II.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즐거운 생활’ 고찰
Ⅲ. 2022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과서 고찰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 시지각 발달의 결정적 시기와 미술교육의 역할: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현황과 과제
- 미술 창작 수업에서 인공지능 활용 양상 분석과 미래 교육 과제
- 캐릭터를 통한 입체조형 교육 -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 인공지능과 미술교육 -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교육내용 탐색
- 즐겁지만 충분한가? ‘즐거운 생활’ 교과서에 나타난 미술교육의 현주소
- 학교 미술교육에서 인공지능(AI) 활용의 교육적 의미와 미래 방향성: 해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 사례 연구: 연극·국악 전공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 미술 수업에서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예비 교원의 성찰과 메타인지 발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Speech Perception in Individuals with Normal Hearing and Hearing Loss: A Multimodal fNIRS study
- Analysis of Students' Eye Movement and Understanding Based on the Presentation Methods of Visual Models for Addition and Subtraction Algorithms
- Potential Biomarkers in Serum for Ischemic Strok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