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 사례 연구: 연극·국악 전공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32

영문명
A Case Study of VTS Art Appreciation-bas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Focusing on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Specializing in Theater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공윤지 김효정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81집, 29~6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에 참여한 연극·국악 전공 문화예술교육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생태전환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VTS의 역할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예술교육은 생태 전환을 위한 중요한 기술이자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생태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예술교육 전문가 양성이 요구된다. 이에 연구자는 다양한 콘텐츠를 감상하며 근본생태주의에 기초한 토론으로 생태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탐구하는 장미연, 김은주(2020)의 예비 유아교사 대상 생태소양 함양 프로그램 모형에 VTS를 접목하여, 총 21차시로 구성된 문화예술교육사 대상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을 계획, 실행하였다. 연구수업 참여자는 미술 분야와의 통합을 통해 학생들의 몰입과 공감을 높여 작품 이해를 돕고, 다중감각 자극을 주어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하기에 적합한 공연예술 분야 중 연극과 국악 전공의 문화예술교육사 2인을 목적 표집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한 자료는 참여자의 VTS 쓰기 활동지와 반성적 저널 및 수업 관찰을 통해 수집하였고, 사전·사후 설문으로 보완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두 참여자는 여섯 단계의 시각적 사고 전략을 활용해 생태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과 인간의 역할 등에 대해 주체적으로 토론하면서 생태소양을 학습하였다. 또한, 기존의 생각을 수정하며 각자의 전공 분야인 국악 및 연극 장르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생태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각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생태전환교육 아이디어를 다수 제시하였다. 나아가 VTS가 참여자 중심 교수학습방법으로서 생태전환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VTS 미술감상교육이 형식 및 비형식 교육 현장에서 생태전환교육 교수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연극·국악 전공 문화예술교육사의 생태시민성을 강화하며,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반한 생태전환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확장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Visual Thinking Strategies(VTS) as a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focusing on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Theatre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researcher developed a 21-session program integrating a deep ecology-based ecological literacy model with visual art appreciation to support ecological transformation.(Jang & Kim, 2020). Two instructors from Theater and Korean traditional music—fields were purposefully selected for their disciplines' capacity to enhance engagement through multisensory connections with visual ar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VTS writing activities, reflective journals, classroom observations, and pre-post assessments.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participants utilized six stages of visual thinking to examine ecological problems and human responsibilities, thereby enhancing their ecological literacy. As a result, participants revised their previously held perspectives and restructured their educational programs in their respective fields through an ecological view, generating practical applications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mplementa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VTS-based art appreciation strengthens ecological citizenship among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offers significant potential as a social constructivist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in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cross both formal and non-formal educational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자료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공윤지,김효정. (2025).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 사례 연구: 연극·국악 전공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 29-60

MLA

공윤지,김효정.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 사례 연구: 연극·국악 전공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2025): 29-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