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 교과서 부록 활동지에서의 미술 활동 분석

이용수  24

영문명
Analysis of Art Activities in Integrated Textbook Appendix Worksheet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송명길 박상돈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94집, 195~21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 교과서에 부록으로 제시된 활동지 중에서 미술 활동과 관련된 활동지를 분석하여 그 기능과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활동지는 교수·학습을 보조하는 기능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원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이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현실에서, 통합 교과서의 활동지는 미술교육이 내실 있게 이루어지게 하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통합 교과서에서 제시된 활동지에서는 1) 미술 기본 개념의 누락, 2) 제한된 표현, 3) 한정된 재료, 4) 위계 파괴, 5) 무의미한 활동지 활용 등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합 교과서 활동지에서의 미술 활동은 미술 발달단계에서 중요한 시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미술을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중요한 교수‧학습 매체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통합 교과서의 활동지는 조형성과 심미성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미적 탐구를 촉진하여 의미있는 미술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activity sheets related to art presented as appendices in the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xamining their functions and effectiveness. These activity sheets can serve as tools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to promo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Given that integrated textbooks are responsible for art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activity sheets included in these textbooks can serve as effective tools for conducting meaningful art activities. However, the activity sheets currently suggested in the textbooks present several issues: 1) the omission of fundamental art concepts, 2) limited modes of expression, 3) restricted range of materials, 4) disruption of developmental hierarchy, 5) the use of activity sheets that lack meaningful educational connection. As the art activities in these integrated textbook activity sheets serve as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for students in a critical stage of artistic development, it is essential that they be designed and provided in a way that encourages aesthetic exploration and holds significance as part of art education, taking into account both formative and aesthetic qualities.

목차

I. 서론
Ⅱ. 교과서의 활동지
Ⅲ. 통합 교과서 미술 관련 활동지 분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명길,박상돈. (2025).통합 교과서 부록 활동지에서의 미술 활동 분석. 조형교육, (), 195-212

MLA

송명길,박상돈. "통합 교과서 부록 활동지에서의 미술 활동 분석." 조형교육, (2025): 195-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